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적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는 기독교인 이혼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 연구 : Don Browning의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적 차원을 중심으로 (Pastoral Care for Christian Divorced People Who Feel Religious Guilt and Shame: Focusing on Don Browning’s Five Practical and Moral Dimens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9.03
28P 미리보기
종교적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는 기독교인 이혼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 연구 : Don Browning의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적 차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95권 / 7 ~ 34페이지
    · 저자명 : 김규리

    초록

    본 연구자는 목회신학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제시하면서 Don Browning의 주장을 언급한다. 특별히 Browning은 현대적 목회 돌봄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를 도덕규범(윤리)의 결핍으로 언급한다. 이런 의미에서 Browning은 오늘날에 맞는 윤리규범을 세울 수 있도록 다섯 차원의 실천적 도덕체계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이 시대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이혼자에 대한 한국교회 기존의 배타적인 종교적 입장이 아닌 실천적 방안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목회신학적인 돌봄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혼자 이씨의 사례를 Don Browning의 실천적 도덕체계 다섯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 집안에서 목회자의 직업으로 이혼을 하게 되면서 겪는 죄책감과 자기비난을 하고 있는 이혼자 이씨의 사례를 살펴볼 때, 1.비전적/ 은유적 차원 2.의무론적 차원 3.성향-욕구의 차원 4.상황적 차원 5.규율-역할의 차원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목회상담자는 이씨가 갖고 있던 삶의 은유, 의무, 욕구, 상황, 규율을 찾아내고 이씨와 함께 새로운 역할을 세워가는 상담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목회상담자는 가장 먼저 이씨가 전통적인 종교관과 교회 윤리관으로 자신을 판단하는 것을 중지하고 자신의 삶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래서 이씨가 자신을 향한 부정적인 윤리적인 비난이 멈 췄을 때 비로소 목회상담자는 이씨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함께 논의할 수 있고, 이씨에게 필요한 윤리와 실천적인 목회 돌봄을 적용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목회상담자가 Don Browning의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적 사고를 적용하여 올바른 목회적 돌봄 전략을 구상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현대의 한국교회는 이혼자들에 대한 적절한 돌봄이 필요하며, 이것은 가정을 바로 세우기 위한 한국교회의 실천적 목회상담으로 연결됨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초록

    Many churches are criticizing the divorce negatively from the orthodox ethical standpoint. However, in the current era of divorce, it is necessary to start pastoral care for divorce. Considering the care of the church for modern people, Dan Browning emphasizes the encounter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through practical theology.
    Browning presents a critical theology of practice as a methodology of pastoral theology in pract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This researcher seeks to examine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five practical ethical dimensions suggested by Browning.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role of pastoral theological ca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as a practical way rather than an exclusive religious position on the divorce occurring i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his researcher refers solely to Browning’s argument, suggest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in practical theology. Specifically, Browning refers to the most serious problem in contemporary pastoral care as a lack of moral norms (ethics). In this sense, Browning presents a practical moral system of the five dimensions to establish the right ethical norm for today. This researcher views the case of Lee’s divorce as a five - dimension of Browning’s practical moral system. When we look at the case of a divorced person Lee, who is experiencing a guilt and self-condemnation as a divorce from a Christian family in a pastoral occupation, 1. Visional/metaphorical dimension 2. Obligatory dimension 3.
    Propensity-dimension of desire 4. Situation 5. Discipline-Approach in the dimension of role. Therefore, the pastor finds the metaphor, duty, desire, situation, and discipline of Lee’s life and conducts a consultation to establish a new role with Lee. The pastor first stops Lee from judging herself with traditional religious and cultural ethics, and helps her to understand her life properly. So when Lee’s negative ethical condemnation against her is stopped, the pastor can discuss with Lee to live the life she wants and apply ethics and practical ministry care needed for Lee.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pastors can apply correct Browning’s practical and moral thinking and conceive correct pastoral care strategies. And the modern Korean church needs proper care for the divorce, which emphasizes that it leads to practical pastoral counseling to build up the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