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복선전」에 나타난 이옥의 문제의식 고찰 - 심노숭의 「사가야화기」, 정약용의 「방친유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Critical Mind of Lee, Ok in 「Jang Bok - Seon Jeon」 -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Sagayawhagi」 by Sim, No - Sung and 「Bangchinyusa」 by Jeong, Yag - Y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11
30P 미리보기
「장복선전」에 나타난 이옥의 문제의식 고찰 - 심노숭의 「사가야화기」, 정약용의 「방친유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7호 / 3 ~ 32페이지
    · 저자명 : 김경회

    초록

    이옥은 당대 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고 문학 작품을 통해 그것의 극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그가 제시한 방안은 자신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이옥이 공금을 유용하여 백성을 구휼한 장복선을 유협으로 입전한 「장복선전」은, 유협의 보편적 개념을 근간으로 이의 없이 수용되었다. 그런데 일반 백성을 구제하여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유협은 시대적 산물로서 당대의 정세나 작가의 의식에 따라 이해되는 방식이 달라서 그 유형이 일률적이지 않은 것처럼, 「장복선전」도 당대의 사회 현실과 작가 이옥의 염원 및 상상력이 결합된 작품으로 여타의 유협전과는 구별되는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장복선전」에 나타난 장복선의 행적을, 심노숭의 「사가야화기」와 정약용의 「방친유사」에 묘사된 장복상의 행적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장복선이 보여 준 유협적 면모의 특성을 재조명하여 그것의 의미를 밝히고, 「장복선전」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증명하였다.
    우선 세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궁핍했지만 베풀기를 좋아했던 장복선 또는 장복상이 공금 유용이라는 자기희생을 통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었다는 역사적 사실이 기술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장복선전」은 장복선을 백성을 구제하여 사회 정의를 실현한 유협으로 칭송한 반면, 「사가야화기」는 장복상을 밤에 모여 나누는 가벼운 이야깃거리에 등장하는 인물 정도로, 「방친유사」는 장복상을 동지공의 유협적 면모를 전하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부수적 인물로 묘사하였다. 이처럼 하나의 역사적 사실이 세 가지의 서사적 진실로 서술된 것은, 이옥ㆍ심노숭ㆍ정약용 세 작가의 문제의식이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장복선전」에 나타난 장복선의 유협적 면모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다음의 두 관점을 중심으로 세 작품에 서술된 장복선의 행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첫째, 유협의 행위 준칙의 준수 여부를 중심으로 장복선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복선은 사회적 준칙보다 개인의 준칙을 당당히 따르는 여타의 유협 내지 의인과는 달리, 구휼이라는 목적과 공금 유용이라는 수단 사이에서 심리적으로 갈등했음을 찾아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옥이 장복선을 유협으로 인정한 동시에 유협이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인간적 갈등을 부각하여 보편적인 인간의 삶의 단면을 보여 주고자 했으며, 백성의 삶의 질곡을 야기하는 당대 현실의 장벽이 높고 견고함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추론하였다. 둘째, 세 작품은 평안 감사 채제공이 장복선의 구휼을 인정하고 그를 석방한 사실은 공통적이나, 「장복선전」은 장복선과의 연대 범주가 일반 백성뿐만 아니라 무관을 포함하여 상층을 상징하는 채제공까지 확장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를 통해 이옥이 하층부터 상층까지 전 계층이 소통과 합의를 기반으로 연대하여 백성의 삶의 질곡과 사회적 모순을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자고 제언하였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Lee, Ok faced up to the social contradiction of the day and made greater efforts to overcome it through literary works, but plans which he presented had limits because he did not get out of his status. 「Jang Bok-Seon Jeon」 that he created showed Jang, Bok-Seon misused public money and helped the poor by self-sacrifice, so Lee, Ok acknowledged Jang, Bok-Seon as a chivalrous person. His critical mind has been accepted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 concept of the chivalrous persons without argument. However the types of the chivalrous persons were not uniform, because the chivalrous person who relieved people and realized social justice was a creature of the times and was understood differently by the state of affairs of the day or writer consciousness. 「Jang Bok-Seon Jeon」 also included distinguishing features, because the work was combined with social reality of the day and wish or imagination of Lee, Ok. To grasp the features, I made a comparison between Jang, Bok-Seon’s trace of the past of 「Jang Bok-Seon Jeon」 and Jang, Bok-Sang’s trace of the past of 「Sagayawhagi」 by Sim No-Sung and 「Bangchinyusa」 by Jeong, Yag-Yong. And then I reinterpreted the feature of the aspects as the chivalrous person that Jang, Bok-Seon showed, determined its meaning, and attested to main factor to raise the value of 「Jang Bok-Seon Jeon」.
    Fist of all, three works said in common that Jang, Bok-Seon who was poor but liked doing an act of charity, helped the poor by self-sacrifice misusing public money. By the way 「Jang Bok-Seon Jeon」 praised Jang, Bok-Seon as the chivalrous person for relieving people and realizing social justice, while Jang, Bok-Sang was described as a character of small conversation at night in 「Sagayawhagi」, and Jang, Bok-Sang was described as a supporting character of the story to tell the aspects of the chivalrous person of DongJiGong in 「Bangchinyusa」. I explained that one historical fact about the trace of the past of Jang, Bok-Seon was changed three descriptive facts on account of critical minds of three writers.
    In sequence,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chivalrous person of Jang, Bok-Seon of 「Jang Bok-Seon Jeon」, I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ace of the past of Jang, Bok-Seon in three works on the basis of two points of view. First, I examined the trace of the past of Jang, Bok-Seon by obey of rule of action of the chivalrous person. Unlikely the general chivalrous person or righteous person that bravely followed individual rule not social rule, Jang, Bok-Seon psychologically conflicted between the purpose of relief and the method of misusing public money. Through those descriptive facts, Lee, Ok acknowledged Jang, Bok-Seon as the chivalrous person, and tried to demonstrated humane conflicts of the chivalrous person experiencing in the process of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show a slice of life of universal human. I also inferred that the barrier of reality of the day brought on the fetters of life of people was high and strong through it. Second, three works commonly said that Pyeongan envoy Chae, Je-Gong acknowledged relief of Jang, Bok-Seon and released him, however the category of solidarity with Jang, Bok-Seon was distinctively extended from people and officer class to Chae, Je-Gong symbolizing the upper class in 「Jang Bok-Seon Jeon」. I found that Lee, Ok suggested that all class from the lower class to the upper class should band together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and agreement, apprehend the fetters of life of people and social contradictions, and solv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