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리치유적 관점에서 간화선의 응용모델- 육도의 핵심감정 치유기제로서의 “화두”의 응용 - (The Practical Model of Gwanhwaseon from the Perspective of Healing:Practical Use of ‘Whadu’ as A Healing Mechanism of the Core Emotion in the Wheel of Six Realm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3.12
37P 미리보기
심리치유적 관점에서 간화선의 응용모델- 육도의 핵심감정 치유기제로서의 “화두”의 응용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6호 / 417 ~ 453페이지
    · 저자명 : 송영숙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간화선의 현대화 또는 대중화를 위한 시도로서 간화선의 “화두” 개념과 육도윤회의 개념을 심리치유에 적용한 심리치유모델인, 인간마인드 회복(RHM: Recovering Human Mind)을 소개하는데 있다. RHM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세친의 유식 30송을 근간으로 개발한 자아초월 집단치유/교육 프로그램인, “진아만나기”에서 전체 8회기 가운데 6회기에 해당하는 정서불균형을 조율하는 기법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세친(320-400CE)은 인도선 전통에서 21대 조사로서 유식 30송을 통해서 유식의 체계를 완성했다.
    RHM 프로그램은 언어와 논리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언어적 사유와 논리의 초월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선(禪)적 방법대신에, 그들의 언어와 논리를 활용함으로서 불교적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와 친근감을 향상시키려는 의도에서 고안된 것이다. 또한 ‘화두’를 현대인들이 실제 현실에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 즉 전생과 현생, 내생을 걸쳐서 윤회하는 육도윤회를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심지어는 순간순간 윤회하는 심리적 상태에 적용하고, 일상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직면하는 경험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물음의 형태’로 제시함으로서 ‘화두’의 실용성과 현실성을 보완했다.
    RHM 프로그램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윤회의 가르침과 화두의 치유적 기제를 응용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 갈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 간단한 수행과 훈련으로도 삶과 인간관계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계발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introduce RHM (Recovering Human Mind) as a healing model,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concept of ‘whadu’ in the gwanhwaseon and the concept of ‘the wheel of six realms’, in order to attempt for the gwanhwaseon's modernization and practicality. The RHM has been used as a method for the emotional imbalance tuning that is the sixth session among the eight sessions-program called "Meeting Your True Self". The MYTS was orig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30 verses written by Vasubandhu (320-400CE) who is considered to be the 21st patriarch of the Indian Lineage of Mahayana Seon, completed the Yogacara doctrine through the 30 verses.
    RHM is designed to improve moderns’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of Buddhist practice by using their language and thought, instead of the traditional seon style transcending language and thought. Also, the RHM complements the practicality and reality of hwadu by applying the wheel of six realms to the problems people are dealing with in their life from the view of psycho-healing and to the psychological states changing moment by moment, instead of applying it to the previous life, present life, and next life, and by showing a hwadu as ‘a form of question’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s and concerns in the daily life.
    The RHM has been developed aiming not only for people to be more approachable by integrating teachings of the wheel of life and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hwadu, but also to have a more effective help for the interrelationship in daily life by a simple practice for a shor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