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沈煥之의 서화취미와 수집― 18세기 京華士族 收藏家의 재발견 (A Study of Shim Hwan-ji― Rediscovery of an Art Collector in the 18th Century, Chosŏ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沈煥之의 서화취미와 수집― 18세기 京華士族 收藏家의 재발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5호 / 97 ~ 128페이지
    · 저자명 : 황정연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노론 벽파의 영수로 잘 알려진 沈煥之(1730~1802)의 일생을 미술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첫 사례이다. 심환지는 조선 후기 역사에서 강경한 노선을 걸은 정치가로 알려져 있으나, 시를 좋아하고 서화에 심취한 또 다른 모습도 간직하고 있었다. 그의 이러한 활동 배경에는 그가 속한 靑松沈氏 가문이 대대로 명필과 화가, 문장가를 배출해 문화적으로도 명문가였다는 사실과 그의 서예적 재능을 후원한 정조의 역할 등이 밑바탕이 되었다.
    심환지는 말년에 해당하는 1780년대부터 타계하기까지 서울 北村의 삼청동에 거주하면서 壯洞金氏를 비롯한 경화 사족들과 문예적・예술적으로 교류하였고 조선 후기 대표적 서화가들의 작품을 열람하고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한 작품마다 소장 경위를 밝힌 발문을 첨부하거나 해당 작가에 대한 평가, 필법, 구도, 작품 가치 등에 대해 고루 언급함으로써 나름의 서화 감상평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南公轍로 대표되는 동시기 경화 사족이 중국 서화 수집에 열중한 것과 달리 鄭敾(1676~1759), 尹德熙(1685~1776), 沈師正(1707~1769), 金允謙(1711~1775), 姜世晃(1713~1791) 등 조선 후기 화가들의 작품을 주로 감상하고 收藏하였다. 그중에서도 진경산수화의 대가 鄭敾의 그림을 특별히 愛好한 것으로 나타난다. 오늘날 한국회화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꼽히는 정선의 《京郊名勝帖》과 <仁王霽色圖>가 그의 컬렉션에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조선 후기 서울의 정치・문화 중심지였던 삼청동 일대 北村에서의 거주와 주변인들과 고급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던 사회적 지위, 그리고 그의 일정한 심미안이 종합된 결과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on Shim Hwan-ji(沈煥之, 1730~1802), a well-known politician of the late Chosŏn period, analyzed from an art historical perspective. Shim has been known as a tough-line politician in the late Chosŏn history, but he also loved poetry and had another aspect of his passion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His work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heongsong Shim family(靑松沈氏), which he belonged to, had produced many famous calligraphers, painters, and writers for generations to come and become culturally well-known, and sponsored by King Jeongjo.
    Shim Hwan-ji lived in Samcheong-dong, Seoul, from the late 1780s to his death, and enjoyed literary and artistic exchanges with Jangdong Kim family(壯洞金氏) and other members of the hardened history family and collected the works of representative calligraphers of the late Chosŏn. In addition, each collection of works was accompanied by an introduction revealing the background of the provenance, and by mentioning the assessment of the author's brush style, composition, and artistic value of the work that he left a review of his own paintings.
    Unlike the fact that the Kyeonghwa sajok(京華士族, noble class-literati), which is represented by Nam Gong-cheol(南公轍), was influenced by Chinese paintings collection, Shim mostly appreciated works by artists of the late Chosŏn period such as Jeong-seon(鄭敾, 1676~1759), Yoon Deok-hee(尹德熙, 1685~1776), Kim Yoon-gyeom(金允謙, 1711~1775), and Kang Se-hwang(姜世晃, 1713~1791). In particular, the fact that Jeong-seon'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were featured in his collection, such as Gyeongyo Myeongseung-cheop(京郊名勝帖, Painting Album of Famous Places in Seoul and Kyeonggi Districts) and Inwang Jesaek-do(仁王霽色圖, Landscape Painting of Inwang Mt.),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works in Korean painting history today, were included in his collection reflects his high connoisseurship, along with his tendency to share social status with his political-cultural colleagues in Bukchon(北村, northern village),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