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구도심 복합 용도 전환 마스터플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for Mixed-Use Conversion in Old Town Using Senior Collective Hous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3.12
12P 미리보기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구도심 복합 용도 전환 마스터플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151 ~ 162페이지
    · 저자명 : 김은광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로 도시가 쇠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7년부터 5년간 50조 원을 투입하여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정책 중 근린 재생형은 도시 내의 마을 생활권 단위의 물리적 환경개선, 공동체 활성화, 쇠퇴한 지역의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노후화, 공실화 등으로 쇠퇴한 상권과 주거환경 개선 및 주민 참여 사업 추진하여 지자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낙후된 주거지역인 문경의 흥덕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한 마스터플랜을 계획·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는 도시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흥덕마을의 인문·사회 부문, 산업·경제 부문, 물리·환경 부문과 관련한 5개 법정 지표를 분석하여, 대상 주거지역의 현황 분석과 도심 쇠퇴화를 알아본다. 또한, 도심의 노인 주거 문제 및 주거 환경개선에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하여 쇠퇴한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가지고 대상지의 마스터플랜 전략을 연구한다. (결과) 흥덕마을은 지속적인 인구의 감소, 고령인구 비율의 증가, 노후 주택 및 빈집의 증가가 뚜렷하여 도심 쇠퇴기준에 부합되는 쇠퇴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인구 증가, 주거환경 노후화, 지역 쇠퇴화의 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춰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흥덕마을의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방안을 검토하였고 대상지의 블록별 현황에 맞는 마스터플랜을 제안해 보았다. (결론) 낙후된 도심 내의 고령자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로의 전환은 도시재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노인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도심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공동체 의식과 소속감을 유도하고 도심지역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빈 건물과 공간은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다양한 공동체 거점으로 재생되어 지역 커뮤니티를 조성할 수 있으며,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속가능성 옵션을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is confronting urban decay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To counter this, the government initiate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llocating 50 trillion won over five years, starting in 2017. One of its policies, community-based regeneration, aims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eighborhood living areas, activate communities, and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e objective is to address persistent issues like population decline, aging, urban decay, and vacancy by improving commerci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promoting community engagement, with local authorities spearheading these efforts. This study focuses on Heungdeok Village in Mungyeong, a neglected residential area, to research feasible and sustaina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and formulate a master plan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 Using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nd Support' as a foundation, this study utilizes urban decay indicators to analyze five legal indicators associated with the humanities and social aspects, industrial and economic aspects, and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of Heungdeok Village. This analysis seeks to comprehe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arget residential area and urban decay within the city. Additionally, by leverag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SCH) as a sustainable solution for senior housing issue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he city, this research proposes feasi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declining elderly residential areas. These strategies form the basis for examining the master plan and an overall strategic approach for the target area. (Results) Heungdeok Village qualifies as an urban decay area, evident from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residents, and a rise in aging housing and vacant properties. This paragraph concentrates o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g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gional declin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us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have been investigated for Heungdeok Village, proposing block-specific master plans tailor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target area. (Conclusions) Transitioning to Senior Collective Housing can significantly address the housing issues of the elderly in neglected urban areas. It not only resolves elderly housing problems and enhances the urban environment but also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revitalizing urban areas. Repurposing vacant buildings and spaces through mixed-use development can transform them into diverse community hubs, fostering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ies. Additionally, utilizing underutilized spaces can offer new sustainable option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