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무량수경』의 지성심(至誠心) 고찰과 지성심을 포용하는 원효 지심(至心) (Examination the Jiseongsim of Gwanmuryangsugyeong and Embracement of Jiseongsim by Wonhyo's Jisi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관무량수경』의 지성심(至誠心) 고찰과 지성심을 포용하는 원효 지심(至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1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최다운

    초록

    본 논문은 상품상생(上品上生)의 정토왕생을 위한 세 가지 마음[至誠心, 深心, 迴向發願心] 중 하나인 지성심(至誠心)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러한 지성심을 포용하는 원효의 지심(至心)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관무량수경』의 삼심을 토대로 정토사상가들의 지성심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세친의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오념문(五念門)과 배대하여 지성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지성심의 개념 정립 중 반복하여 언급되는 ‘眞[진실, 본성], 實[본질], 專[오롯함]’과 ‘決定堅固[변함없는], 不移[부동의], 直[곧은, 한결같은], 眞如[진리]’ 등의 표현에 따라, 지성심은 ‘(진리를 향한) 진실하며 오롯한 마음’이라 정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으로 신업(身業)의 공경과 예배를 다 하며, 구업(口業)의 찬탄으로 여래명호를 부르고 광명의 지혜로운 모습과 같이 상응하고자 해야 한다. 또한 의업(意業)의 일심전념(一心專念)으로 서원하고 관찰하는 사마타(奢摩他)와 비파사나(毘婆舍那)를 여실하게 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오념문 중 예배문(禮拜門)·찬탄문(讚歎門)·작원문(作願門)·관찰문(觀察門)이 지성심에 배대되는 것이다. 나머지 회향문(迴向門)은 세 가지 마음 중 회향발원심과 배대할 수 있으며, 지성심을 비롯하여 굳건한 믿음인 심심과 중생에 널리 회향하고자 하는 회향발원심까지 모두 만족하여 상품상생의 왕생요건을 갖춘다.
    한편, 지성심과 의미는 유사하나 조금 더 포괄적인 개념을 지닌 원효의 지심을 지성심에 더하여 그 공덕을 도출해내었다. 원효의 지심은 『무량수경종요』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한 치의 틈도 없이 다른 생각이 섞이지 않은 오롯함이었다. 이는 끊어지지 않는 연속성의 부단심(不斷心)과 같으므로, 지성심의 오롯한 결정심과 다를 바 없다. 지성심과 지심의 이러한 유사성은, 원효가 『기신론소』를 통해 이미 밝혔던 ‘일심(一心)’의 개념으로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성심은 상품상생의 왕생요건으로 상근기의 중생들을 제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면, 지심은 하품하생의 왕생으로 모든 근기의 중생들을 아우르는 자비심으로 중생 교화를 선도한다. 즉 원효의 정토왕생은 입문 가능한 중생의 계위를 낮추는 데에 있으며, 오로지 자비심으로 방편적 이행도를 행하는 것이다. 즉 지성심으로 상근기의 중생들이 정토에 왕생한다면, 이에 원효의 지심으로 하근기의 중생들까지 정토왕생을 이루어 한 사람도 빠짐없이 청정심으로 인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Jiseongsim(至誠心) which is one of the three minds (至誠心, 深心, 迴向發願心) for rebirth in Pure Land of sangpumsangsaeng, and an examination of Wonhyo's jisim(至心) which embraces Jiseongsim. First, based on the Three Minds of Gwanmuryangsugyeong, the views on the Jiseongsim of Pure Land thinkers were revealed, and the meaning of the Jiseongsim was exa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five anu-smrti(五念門) of the Vasubandhu's Sukhāvatīvyūhasūtropadeśa. Mentioned repeatedly while establishing the concept of Jiseongsim, the words '眞(true, nature), 實(essence), 專(constant)' and ‘決定堅固(unchangeable), 不移(immovable), 直(upright, constant), 眞如(dharma)’. According to these expressions, the Jiseongsim could be defined as 'Genuine and continuous mind toward the truth'. With this mind, one must perform all the reverence and worship of one's body karma, chant the name of the Tathagata with praise of one's karma, and try to correspond to the wise appearance of gwangmyeong. In addition, one must faithfully practice Samatha and Vipassana, which are vows and observations with constant-minded devotion to one's karma. Therefore, among the five anu-smrti, the gate of reverence and worship, the gate of praise, the gate of making a vow, and the gate of observing with wisdom are assigned to the Jiseongsim. Among the three minds, Hoehyangbalwonsim can be aligned with the gate of merit transference, and it satisfies all of the Jiseongsim, the Simsim, and It satisfies all the requirements of sangpumsangsaeng, including the Jiseongsim, the Simsim, and the Hoehyangbalwonsim that want to share the benefits with all living beings. Meanwhile, Wonhyo's Jisim, which has a similar meaning to Jiseongsim but is a slightly more comprehensive concept, was added to Jiseongsim to derive merit and virtue. Wonhyo's Jisim could be examined through Muryangsugyeongjongyo, and it was entirely without any gaps and without any other thoughts mixed in. Since this is like an uninterrupted mind of unbroken continuity, it is no different from the purely determined mind of the Jiseongsim. This similarity between these minds can be seen to result in the concept of ‘one mind(一心)’ that Wonhyo had already revealed through Gisinronso. However, if the purpose of the Jiseongsim is to save sentient beings in the upper stage as a condition for the rebirth of coexistence of goods, Wonhyo's Jisim leads the edification of sentient beings with compassion that encompasses all sentient beings in the basic stage through the rebirth of the yawning lower stage. In other words, Wonhyo's rebirth in the Pure Land is aimed at lowering the status of sentient beings who can be initiated, and he performs expedient transition only out of compassion. In other words, if sentient beings in the upper period are reborn in the Pure Land with the Jiseongsim, then with Wonhyo's Jisim, sentient beings in the lower period are also reborn in the Pure Land, and it is possible to guide every single person to a pur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