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타자에 대한 실코의 스토리텔링에 나타나는 포스트휴머니스트적 윤리-정치성 (The Posthumanist Ethico-politicality in Silko's Storytelling of the Animal-Oth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동물-타자에 대한 실코의 스토리텔링에 나타나는 포스트휴머니스트적 윤리-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35권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정진만

    초록

    This essay explores how Leslie Marmon Silko's Ceremony and Storyteller encourage human's sympathetic relationship with the nonhuman animal-Other, paying attention to her posthumanist voices against anthropocentric mistreatment of animals which is inseparable from white Americans' environmental and racio-ethnic subjugation of nature and Natives in the colonialist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s a way of dissolving the problematic anthropocentrism and embracing the animal-Other as a fellow creature, Silko employs and transforms Native American oral tradition in her own idiosyncratic posthumanist storytelling. In order to highlight the ethico-political examination of the animal issue in her storytelling, this essay refers to contemporary posthumanist thinkers such as Jacques Derrida, Giorgio Agamben, and Gilles Deleuze who are all in their own ways critically engaged with Western metaphysical anthropocentrism.
    Arguably, in a similar vein with the posthumanist critics, Silko disrupts the mischievous hierarchical opposition of humans/animals that have directly or obliquely warranted violence against the animal-Other. In order to demonstrate Silko's ethico-politicality concerning the animal issue, this essay inquires her critical perception of humans' misunderstanding (or misbehavior) toward animals in terms of the suffering and death of animals. Besides, Silko's posthumanist storytelling of the animal's gaze (as Derrida notes as an event of revealing human aporia and vulnerability) and “in-between” (as a reification of crossing the boundary of humans/animals) is discussed with the exemplification of Tayo's encounter with a mountain lion and a bear-man Shush. The posthumanist approach to thinking about the animal-Other in Ceremony and Storyteller would shed light on the ethico-political significances of Silko's storytelling in our time in peril of losing the t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영어초록

    This essay explores how Leslie Marmon Silko's Ceremony and Storyteller encourage human's sympathetic relationship with the nonhuman animal-Other, paying attention to her posthumanist voices against anthropocentric mistreatment of animals which is inseparable from white Americans' environmental and racio-ethnic subjugation of nature and Natives in the colonialist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s a way of dissolving the problematic anthropocentrism and embracing the animal-Other as a fellow creature, Silko employs and transforms Native American oral tradition in her own idiosyncratic posthumanist storytelling. In order to highlight the ethico-political examination of the animal issue in her storytelling, this essay refers to contemporary posthumanist thinkers such as Jacques Derrida, Giorgio Agamben, and Gilles Deleuze who are all in their own ways critically engaged with Western metaphysical anthropocentrism.
    Arguably, in a similar vein with the posthumanist critics, Silko disrupts the mischievous hierarchical opposition of humans/animals that have directly or obliquely warranted violence against the animal-Other. In order to demonstrate Silko's ethico-politicality concerning the animal issue, this essay inquires her critical perception of humans' misunderstanding (or misbehavior) toward animals in terms of the suffering and death of animals. Besides, Silko's posthumanist storytelling of the animal's gaze (as Derrida notes as an event of revealing human aporia and vulnerability) and “in-between” (as a reification of crossing the boundary of humans/animals) is discussed with the exemplification of Tayo's encounter with a mountain lion and a bear-man Shush. The posthumanist approach to thinking about the animal-Other in Ceremony and Storyteller would shed light on the ethico-political significances of Silko's storytelling in our time in peril of losing the t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