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梅泉詩의 鄕土性 硏究 - <園植十五咏>과 『苟安室新稿』 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lity of Maecheon Poet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梅泉詩의 鄕土性 硏究 - &lt;園植十五咏&gt;과 『苟安室新稿』 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7호 / 277 ~ 302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초록

    향토성의 사전적 의미는 ‘고향이나 시골의 정취가 담긴 특성’이다. 현대에 들어와서이러한 향토성은 문학뿐만이 아니라 예술 전반에서 중요한 특성으로 다뤄지고 있다. 특히 향토성을 고찰하는 작업은 작가의 내면을 살필 수 있어,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방법론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는 매천 한시 작품의 향토성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정리하였다.
    지식인이자, 양반이었던 신분과 향촌은 삶의 현장이라는 현실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투영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매천의 <종어요>는 소작농 수탈에 대한 울분도, 쉼 없이돌아가는 바쁜 농촌의 현실도, 그리고 아름답게 느껴지는 농촌의 모습도 아우러져 있다.
    매천의 인식은 작품 곳곳에서 이중적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매천 문학의 향토성에 대한특성을 이룬다.
    매천이 바랐던 이상적 향촌은 <산우념수>과 <강상>에 그려진 세계였다. 이것이 매천문학 향토성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있음’의 세계를 부정하고 ‘있어야 할’ 세계를 추구한매천은 동일한 향촌을 <차전가>로, <산우념수>로 그려냈다. 이처럼 현실과 이상이라는갈등 속에서 이중적 향촌의 모습을 시화한 것이 매천 문학이 지닌 향토성이다.
    <원식십오영>은 매천을 둘러싸고 있는 향촌에 대한 현실적 인식이 주로 작용하여 작품화됐다. 신분과 현실의 괴리가 그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곤 했는데 <원식십오영>이 대표적인 예이다. 매천의 향촌에 대한 현실 인식은 그의 질곡된 삶에서 연유하고 있으며, 그에게 있어 향촌은 객관적 상대물이 아니라 항상 삶의 일부였다.

    영어초록

    The dictionary meaning of locality is ‘characteristics containing the atmosphere of hometown or countryside’. In modern times, this locality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the arts in general. In particular, the work that considers the loc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the world of the work, as it allows you to look inside the artist. Here, the locality of Maecheon’s Chinese poetry is considered, and its meaning is summarize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alities of the intellectual and yangban status and village life were reflected in the work. Maecheon’s <Jong-eoyo> captures the resentment over the exploitation of peasants, the reality of busy farming villages that do not stop, and the beautiful countryside.
    Maecheon’s perception is doubled throughout the work, and this is a characteristic of Maecheon literature’s locality.
    The ideal village that Maecheon hoped for was the world depicted in <Sanwoo Yeomsu> and <Gangsang>. This is the foundation of Maecheon Literature Locality. Maecheon, who denied the world of ‘being’ and pursued the world ‘should be’, portrayed the same village in <Chajeonga> and <Sanwoo Yeomsu>. In this way, in the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ideal, the poetic image of a double village is the locality of Maecheon literature.
    <Wonsigsib-oyeong> was made into a work mainly due to the realistic perception of the villages surrounding Maecheon. The gap between identity and reality was often revealed in his works, but <Wonsigsib-oyeong> is a representative example. Maecheon’s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villages stems from his difficult life, and for him, villages have always been a part of life, not an objective counterp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