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염취약시설에서 환기실천 및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Ventilation Practice and Operation in Facilities at Higher Risk for Disease Transmiss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4.12
20P 미리보기
감염취약시설에서 환기실천 및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노년학 / 44권 / 6호 / 691 ~ 710페이지
    · 저자명 : 김세영, 문지현, 유정연, 배상환, 송영준, 유미, 이상은, 강수진

    초록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감염취약시설 7개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환기시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시설 내 환기실천 및 실내공기질 관리 경험을 통해 얻은 운영 방식변화와 한계점을 파악하고 환기 실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으로 연구 참여자 공고를 안내하여 총 78명의 지원자 중 지역과 감염취약시설 유형을 고려하여 총 27명의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은 개방코딩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주제(현장에서의 변화와 움직임, 사전예방이 어려운 부분, 일관된 의사소통 및 컨트롤 타워의 부재, 환기실천 및 실내공기질 관리 활성화를 위한 제언사항)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감염취약시설 종사자들은 환기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식 습득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환기의 중요성을 깨닫고 빈도와 횟수를 증가하는 등의 실질적인 운영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절적인 특성(겨울철 낮은 온도), 건물의 노후화(배기소음 및 배기설비 문제), 입소한 환자별 특성(정신질환자 및 장애환자)으로 인해 환기실천이 원활하지 않았다. 또한, 시설별 소속된 부처가 달라 관련 지침에도 혼선이 있었으며, 이론적이고 요약된 정보로 환기 필터 교체 주기, 필터청소 건강유해물질 등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하여 소극적인 운영을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환기운영 시간을 늘리고, 횟수를 증가하라는 식의 정보전달이 아닌, 시설별, 계절별, 건물 구조별 적당한 환기 시설 장비에 대한 소개와 필터 주기와 청소법, 환기 실천과 필터교환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교육을 요구하였다. 향후 감염취약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실내 호흡기감염병을 예방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환기시설 및 공기질 관리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및 공기질 안전 인증제 도입 등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A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insights of ventilation facility managers operating within seven high-risk infection-prone facilities nationwide. This investigation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operational methodologies and operational constraints in ventilation procedures and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subjects were recruited through an online posting, and 27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pool of 78 applicants, with considerations given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facility types represented. The interviews were semi-structured, and open cod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ystematically. Consequently, the analysis showed four overarching themes: improvements in operational practices, challenges encountered in preventive efforts, the paucity of consistent communication and a centralized coordinating entity, and recommendations to invigorate ventilation practices and enhanc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dditionally, a total of 12 subtopics emerged. In the context of COVID-19, employees within these fac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awareness of indoor ventilation and operational protocol alterations, emphasizing their importance and frequency. Nonetheless, ventilation procedures encountered impediments stemming from seasonal attributes, the aging infrastructure of the buildings, and the distinctive profiles of their patients/residents. Furthermore, the guidelines, owing to the varying administrative affiliations of these facilities, causing particular uncertainties regarding ventilation-related recommendations, leading to confusion in ventilation practices. Our findings suggest extending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ventilation operation as well as providing tailored ventilation equipment suited to the specific type of facility. Finally, implementing an evaluation checklist and a certification system tailored for infection-prone facilities should be a valuable initiative, enabling them to appraise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systems and air quality manag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노년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