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토기 제작과정의 실험적 연구 - 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eolithic Earthenwar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07.12
39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토기 제작과정의 실험적 연구 - 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3호 / 3 ~ 41페이지
    · 저자명 : 소상영, 이승원, 이종안, 안성민, 박종부, 최광훈

    초록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에 대한 연구는 문양 및 기형의 차이를 중심으로 편년과 계통연구에치중해왔다. 토기제작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에머물러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실험은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과정을 실험고고학적 방법을통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토기는 도치로 성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대형토기의 경우 기물을 따로제작하여 접합하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양의 시문은 도치와 정치 상태에서 모두 가능하나, 구연부에 단사선문을 시문하는 경우 정치상태에서 시문하는 것이 빠르고 정교하여 보다효과적이었다.
    이번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은 소성전후 토기의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토기소성은자연 상태의 점토가 화학적 변화를 거쳐 변형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종단계로토기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성실험은 기존 연구결과와 민족지 사례를 검토하여 개방형 야외소성 방식으로 3차례실시하였다. 소성실험을 통해 흑반, 백반 등 소성흔이 부착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직립, 횡치, 도치로 설치된 토기에서 관찰되는 소성흔의 차이와 규칙성을 확인한 것은 이번실험의 가장 큰 성과라고 하겠다.
    금번 실험은 민족지 사례에 대한 검토가 불충분하였고, 실험계획 및 과정에 있어서도 여러문제점이 노출된 단점도 있었다. 그러나 선사시대 토기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연구가 부족한현실에서 그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노출된 문제점은 후속실험과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의 비교연구를 통해보완해 나갈 것이다

    영어초록

    Research on the earthenware of Neolithic Korea has tended to focus on pottery typology and style, as a means of investigating chronology and culture groups. The study of earthenware manufacturing processes is a relatively new undertaking which remains at a pioneering stage.
    It is in this context tha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means of experimental archaeolog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Korean Neolithic earthenware.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forming Neolithic vessels was to lay it upside down; in the case of large vessels, it appears that two vessels we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later joined together into a single vessel.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patterns could be incised onto the surface regardless of the lying position of the vessel (i.e. either upside down or upright). However, in the case of patterns incised around the vessel rim, it appears that the act of decoration could be carried out in a quicker and more precise manner when the vessel was in an upright position.
    The key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ges observed before and after firing. As the firing of pottery brings about a chemical change in the natural clay, thereby allowing the vessel to maintain its shape and function, it can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the manufacture of earthenware.
    Our experiment on the firing stage was conducted three times by means of open field firing, based on ethnographic examples and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provided insight into the formation of firing clouds (such as black and white mark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hese firing clouds coincided with the different positions (upside-down, upright, at an angle) in which the vessels were fired.
    In conducting the current experiment, certain problems were exposed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program. They derive from an insufficient review of the ethnographic literature, as well as certain defect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experiment.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current research has been successful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eolithic earthernware; this issue has been under investigated within the current archaeological climate.
    The problems exposed in this experiment will be addressed in the future by means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ubsequent experiments and those earthenware vessels actually excavated from Neolithic si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