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신협운동 연구 (A study of the Credit Union Movements implement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the agricultural areas of the Wonju region in the 1970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4.06
45P 미리보기
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신협운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6호 / 323 ~ 367페이지
    · 저자명 : 김소남

    초록

    1972년 8월 남한강유역의 대홍수를 계기로 창립된 재해대책사업위원회에 의해 3개도 13개 시·군, 80~90여개 농촌부락과 10여개 탄광지부를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신협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글은 1970년대 전반 정부에 의해 새마을운동이 전개되고 있던 기반 위에서 1973년부터 災害委에 의해 농촌지역에서 남한강유역수해복구사업과 한우지원사업, 원주원성수해복구사업 등을 통해 설립·운영된 농촌신협의 설립과 운영과정, 농촌신협과 농협·마을금고 등 관제협동조합과의 관계, 농촌신협과 가톨릭농민회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1970년대 災害委는 남한강사업과 한우지원사업 관할 농촌부락에서 일찍부터 신협의 설립을 추동하고 있었으나 1970년대 전반 災害委의 주요 활동부분은 부락개발사업을 통한 농촌개발운동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부락개발운동이 침체에 놓이면서 災害委는 본격적인 신협운동의 전환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부락개발사업 대상부락에 대한 신협운동은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그 결과 1970년대 말 災害委 관할 농촌지역에서 54개의 농촌신협이 설립·운영될 수 있었고, 이 중 14개 신협이 재무부의 인가를 받고 있었다. 당시 농촌신협은 대체로 그 자산과 조직이 소규모였기 때문에 신용사업을 넘어 생산과 유통, 소비와 구판의 업무까지 취급하기 어려웠으나 농협이 농민을 위한 협동조합으로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면서 부락별로 설립된 농촌신협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1970년대 災害委의 추동을 받아 농촌과 광산지역 전개되었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의 핵심은 신협운동이었다. 당시 신협운동은 그 과정에서 관제농협의 민주화를 추동했을 뿐만 아니라 관 주도 새마을운동의 전개에 따라 ‘마을회의’나 대동계, 마을금고 등을 중심으로 부락 내 권력을 유지·행사하던 기존 권력구조를 신협임원들이 주도해 나가면서 부락 내 정치구조의 변동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1970년대 농촌부락에서 신협을 통해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은 정부 주도의 새마을운동이 전개되는 기반위에서 부락단위에 기반한 농민 주도의 농촌개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핵심체였다는 점에서 1970년대 災害委에 의해 전개된 신협운동은 역사적·사회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영어초록

    Established in response to the Great Flood of the Namhan River basin in April 1972,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headed the civil-led Credit Union Movements with the participation of about 80 or 90 rural villages, 13 cities and districts in 3 provinces, and more than 10 mining branche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agricultural credit unions found and managed by the restoration projects for the flood-hit areas of the Namhan River basin and Wonju-Wonseong regions, the Korean Beef Cattle Support Program conduct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agricultural areas, and governmental credit unions such as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or village funds. It also explores the credit unions’ connection with the Catholic Society of Farmers under the New Community Movement (Sae-ma-eul Undong) put in place by the government.
    In the 1970s,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propelled the establishment of credit unions in the agricultural villages where restoration and support projects were being conducted. In the early 1970s, the Committee’s activities mainly centered around Agricultural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as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came to a halt in the mid-1970s,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planned the switchover of its activities to Credit Union Movements. As a result, these new types of movements were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villages where the development projects had once taken place. In the late 1970s, the change enabled 54 agricultural credit unions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ese rural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and 14 of them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Finance. At the time, those credit unions only had a limited budget and a small constitut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marketing all on their own; therefore, they could only operate credit banking. However, as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could not properly act as a credit union for farmers, those agricultural credit unions in the villages needed to fulfill that role.
    The civil-led cooperative movements overseen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the agricultural and mining areas of the 1970s had the Credit Union Movements at their core. The movements led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also effected a significant power shift in villages, as the officials of the credit unions replaced the old power structure including the village councils, village funds or county fraternity formed by the government-led Sae-ma-eul movements. The fact that cooperative movements were conducted via credit unions in the agricultural areas while Sae-ma-eul movements were in place, was a key driver of the village development movements led by farmers on the basis of village units. This credit union movement l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h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