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폭력 문제의 ‘신(新)가정화’ 국면에서‘아내폭력’ 듣기의 (불)가능성에 대한 연구: 가정폭력 상담소 및 보호시설 종사자의 피해자 지원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ssibility of Receivingto Wife Violen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0.12
40P 미리보기
가정폭력 문제의 ‘신(新)가정화’ 국면에서‘아내폭력’ 듣기의 (불)가능성에 대한 연구: 가정폭력 상담소 및 보호시설 종사자의 피해자 지원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여성학논집 / 37권 / 2호 / 3 ~ 42페이지
    · 저자명 : 홍미리

    초록

    이 연구는 가정폭력을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는 대중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진단 속에서,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실제로 아내폭력 피해 여성의 경험과는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에 아내의 발화 장소이자 문제해결의 연결통로이기도 한 가정폭력 상담소와 보호시설 종사자의 경험을 통해 지금의 가정폭력 담론 안에서 아내들의 경험이 어떻게 수신되고 굴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가정폭력은 한국사회에서 ‘말할 수 있는 문제’, ‘신고할 수 있는 문제’가 되었지만 국가와 사회는 문제해결을 향한 아내의 목소리를 다시 ‘가정’이라는 그릇에 되 담고 있었다. 폭력의 ‘피해자’이면서 가정의 ‘책임자’이기도 한 아내의 위치에 대한 인식이 부재할 때, 아내의 목소리는 상담원과 지원자, 경찰, 검찰, 법원 등 사회 전반에서 수신되기 어려웠다. 가해 남편과 함께 가정의 공동관리자로 가정되는 아내의 위치는 사람들에게 ‘약자’로 인식되기 어려운 이유가 되었고, 이것은 아내폭력 피해를 인정받기 어려운 이유로 작동하였다. 남편의 폭력은 아내의 공동관리자 지위를 위협하지만 아내는 책임자 지위를 내어놓지 않고 남편의 폭력까지 책임지고자 했으며, 인내와 맞대응, 경찰신고, 처벌불원과 처벌, 상담과 이혼요구 등의 방식을 채택하였다.
    한편, ‘가정폭력은 범죄’라는 인식의 확산으로 남편의 폭력에 맞대응하는 여성이 증가했는데 이것은 ‘쌍방폭력’이라는 이름으로 오(誤)분류되고 있었다. 가정폭력 신고의 보편화는 남편이 아내를 통제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상담소는 가해자가 되어 오는 피해 여성들을 상담하는 상황과 마주하고 있었다. 요컨대 가정폭력이 범죄라고 여기는 사회적 인식은 확대되었으나 ‘피해자’이자 가정의 ‘책임자’인 아내의 위치성에 대한 이해는 소원하며 이런 지형에서 아내의 말하기는 더 어려워졌다고 진단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how changing public awareness about DV(Domestic Violence) as a social issue is related with actual experiences of DV women victims. It researches experiences of DV counselling center’s counsellors and staffs of DV shelters to understand how victim wives’ experiences receiving and reflecting in the discourses of DV.
    As a result, DV became speakable and reportable issues. However, nation and society returned wives’ voices solving DV to their own home. Counsellors, supporters, policemen, prosecutors and judges could not receive wives’ voices well when they had not recognized wives’ status as a violence victim and home manager. Wives are difficult to be affirmed as a DV victim, because of the assumption that wives’ status is a co-manager of household with offender husband. Although husband’s violence threatens wives’ status as a co-manager, wives decided to manage and take a responsibility of home including offender husband, and patience, co-response, report, punishment, no punishment, counselling and divorce request.
    On the other hand, the rise of women who co-response against husband’s violence with spreading the awareness of DV as a crime is misclassified under the name of bilateral violence. Wide spreading of DV report overuses by husbands to control wives, it makes DV center counsellors meet women victims who became an offender. In short, social awareness spreads DV as a crime, the awareness about status of wives who are victim and home manager has not been changed yet. This study diagnosis speaking by wives becoming much ha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