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젝의 기독교 비평연구: ‘사신(死神)’신학에서 ‘초혼(招魂)’신학으로 (A Critical Review of Zizek’s Christianity: From the Death of God Theology to the Invocation of God Theolog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2.06
38P 미리보기
지젝의 기독교 비평연구: ‘사신(死神)’신학에서 ‘초혼(招魂)’신학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57호 / 79 ~ 116페이지
    · 저자명 : 신은희

    초록

    이 논문은 슬라보이 지젝의 기독교 비평 연구를 통해 실천 신학의 또 다른 유형을 모색하고 유물론적 신학의 현대적 의미를 찾아보는데 있다. 세계적인 철학자요, 문화비평가, 실천 이론가이면서 스스로 유물론적 신학자로 자처하는 지젝은 다양한 저술활동을 통해 신 죽음의 신학을 유물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 새로운 혁명의 신학으로 ‘이웃’의 신학을 제시한다. 그가 강조하는 급진적 실천신학의 진원은 헤겔과 쉘링이 제시한 신의 자아응축을 통한 변증법적 사유와 함께 케노시스의 사신 신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진리-사건’으로 규정하며 완벽한 신의 죽음으로 탄생되는 유물론적 성령개념을 강조한다. 지젝은 정통적인 신 개념을 뒤틀어 자신이 고안한 ‘실재계’의 균열 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연약하고 불완전한 신의 개념 속에서 새로운 구원의 가능성이 탄생됨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된 신학적 논지는 지젝이 어떠한 개념 체계를 바탕으로 정통신학과 유물론적 신학을 병렬시키며 자신의 고유한 신 개념과 그리스도의 죽음 해석을 ‘신학화’ 시켜 나가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지젝의 유물론적 신학을 ‘사신신학’ 혹은 ‘신 죽음’ 신학과 대화해 봄으로서 신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이와 함께 그가 강조하는 신의 죽음으로 탄생되는 ‘성령’ 개념이 어떻게 그가 주장하는 새로운 혁명의 주체인 ‘이웃’의 개념과 만나 실천 신학의 초월적 기표를 형성하게 되는지 살펴봄으로서 지젝이 강조하는 신학적 함축성과 한국적 상황에서 급진적 실천 신학의 가능성을 재고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ltimat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doing theology’ by examining Zizek’s practice of a material theology, and to understand his theological implications for a contemporary theological discourse. For Zizek, G. W. F. Hegel is most important thinker in formulating Zizek style of philosophical argument, specifically, the basic three-part structure of the ‘negation of negation’ which is pervasive in Zizek’s writings. Zizek basically employs the concept tool from Lancan’s language-the Imagine, Symbolic, and Real order to reconstruct his own theological concept of the death of God. For Zizek, the Real represents the evasive remainder that the symbolic order can never ‘catch’ and contain in its attempt to ground the social reality. The ideological fantasy that underlies our social reality is a necessarily failed attempt simultaneously to contain and to evade the traumatic antagonism of the Real. Zizek draws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dialectics and the underlying logic of the concept of the Real in order to eliminate the fantasy of the ‘big Other.’Zizek develops his theory of subjectivity in relation to the notions of ‘divine madness,’ ‘death drive,’ ‘ex-timacy,’ ‘vanishing mediator,’ ‘nothingness,’ and Schilling’s concept of ‘God’s self-renouncement. The issue of God’s subjectivity is discussed with the theology of kenosis drawing out the parallels between Zizek’s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ose of the most important theologians of the twentieth century: Thomas J.J. Altizer and J. Motmann. Zizek’s interpretation on Christ and cross-event comes to be a decisive shift to create a material pneumatology-that is the Holy Spirit as sociality and communitarian revolutionary acts-and paradoxical ethical teachings. Zizek argues with the fascination of ‘subverting’ an existing social order or ideological order and a turn to the question of how a social order is founded in the first place. Zizek’s theology focuses on the ‘material messianism’ by practicing the ‘politics of refusal’ which allows him to envision a new form of collectivity that would non-identically repeat the ‘Holy Spirit’ that flowed out of the death of God on the cross. However, Zizek’s theology is in a process of creative transition from the death of God theology towards the theology of invocation that calls out the spirit of God among the revolutionary movement of the unplugged but spirit-filled community of the ‘neighb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