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랄라 데비(Sarala Devi)의 딜레마 사례 연구: 신여성성과 민족의식 (A Case Study on Sarala Devi’s Dilemmas: New Womanhood and National Consciousnes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02
34P 미리보기
사랄라 데비(Sarala Devi)의 딜레마 사례 연구: 신여성성과 민족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2권 / 3호 / 25 ~ 58페이지
    · 저자명 : 박금표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신여성성과 젠더의식의 한계, 상무적 민족의식과 물레를 중심으로 사랄라 데비의 딜레마 사례를 연구했다. 사랄라 데비의 신여성성은 과학수업, 노래, 직업 등 여성에게 제한되어 있던 한계에 도전한 사례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결혼과 관련된 사례에서는 젠더의식의 한계를 드러냈다. 그 첫째는 배우자 선택권을 주장하면서도 부모가 선택한 사람과 어쩔 수 없이 결혼한 것이다. 둘째는 여성은 가문의 대를 이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여성 인식에 근거하여 일부다처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나 그 시기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그러한 젠더 의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신여성으로서는 선구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1900년대 초에 상무정신을 고취시키던 사랄라 데비는 1920년대에는 간디가 주도하는 물레 운동의 선봉에 섰다. 이 두 개의 사례를 단순하게 비교하여 모순 혹은 딜레마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는 간디의 비폭력 사상과 사랄라 데비의 상무정신을 비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랄라 데비가 물레 운동에 참여한 것은 간디의 비폭력 사상보다는 스와데시 운동을 따른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또한 사랄라 데비의 상무정신은 강건한 신체와 용감함을 강조한 것일 뿐 당면 문제들을 폭력으로 해결하자는 폭력주의는 아니다. 그러므로 사랄라 데비의 상무적 민족주의와 간디의 비폭력을 대비시켜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한 연구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요컨대 그녀가 상무적 민족주의를 주장하던 시기와 같은 시기에 추진했던 스와데시 운동이 간디의 물레 운동과 연결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of dilemma of Sarala Devi focusing on the limitation of new womanhood and gender awareness, and martial national consciousness and spinning wheels. New Womanhood of Sarala Devi can be found in the cases of challenging the limit that was imposed to women such as science classes, songs, and jobs. However, the cases related to marriage revealed the limitations of gender awareness. The first of such is married the person that her parents chose while claiming the right to select her own spouse. The second is to positively accept polygamy on the ground of the traditional idea that women should carry on a family line. However, considering the time period was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despite such limitations on gender awareness, it can be viewed that pioneering attitude was shown as a new woman.
    Early of the 1900s, Sarala Devi promoted the martial spirit. In the 1920s, she was in the vanguard of the spinning wheel movement which was led by Gandhi. There is a tendency of comparing these two cases and see them as contradiction or dilemma. That is because they compared the nonviolent spirit of Gandhi and the martial spirit of Sarala Devi. However, Sarala Devi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spinning wheels by following Swadeshi movement rather than the nonviolent spirit of Gandhi. Also, the martial spirit of Sarala Devi stresses strong body and bravery, not vandalism that tries to solve current problems with violence. So, it is not a desirable approach to compare her martial nationalism with Gandhi’ nonviolence. In conclus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see that the swadesh movement of Sarala Devi, which proceeded during the time of claiming martial nationalism, is connected with the movement of spinning wheels by Gandh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