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ㆍ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전개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late and the last Neolithic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2.07
47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ㆍ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전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 / 23호 / 1 ~ 47페이지
    · 저자명 : 송현경

    초록

    본고는 한반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신석기시대 후ㆍ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전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이중구연토기의 유물자체의 속성을 바탕으로 형식 분류하였다. 그 결과 기형을 1차 기준으로 하고 점토띠 접합방식, 문양을 2차 기준으로 하여 5가지 형식(Ⅰ~Ⅴ식)으로 분류하였다. 각 형식에 대한 시간성 분석을 바탕으로 4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1단계는 신석기시대 후기 후엽으로 이 시기에 이중구연토기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2단계는 말기의 획기가 되는 시기로, 한반도 남부 전역에서 출토된다. 낙동강 이서내륙지역, 낙동강 하류지역, 소백산맥 이서지역에서 소지역성이 확인된다. 3단계는 가장 넓은 지역에서 많은 유적이 확인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이전 단계에서 보이는 소지역성이 사라지면서 기형과 문양에서 제일화가 보인다. 4단계는 유적과 유물의 수가 감소하고, 원도권과 남해안 일부지역에서는 유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중구연토기 분포권 최외곽지역에서 무문화라는 규범에서 벗어난 문양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중구연토기의 소멸ㆍ쇠퇴가 일어나는 단계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late and the last Neolithic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lassified double-rimmed pottery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remains. Through this analysis, I waw set up in five types(I-V types). I think that they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ges, based on the time-oriented analysis for each type.
    The first period was predominated by the I-type and belonged to the Late Neolithic. It was thought to occur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seen from the patterns and the amount of pottery excavated.
    The second period, the Ⅱ and Ⅲ-types were mostly identified. This was the epoch-making end period. In this stage, the distribution of pottery was confirmed also in the areas outside the water system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amount of the remains and artifacts increased more noticeably than its previous stage. Meanwhile, in this stage, distribution in small areas was confirmed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and the downstream of the lower Nakdong river and the western Sobaek Mountains region.
    In the third period, the Ⅳ-type was mostly found. This was the period when many remains were confirmed in the widest areas. In this period, distribution in small areas shown in the previous period disappeared and the pottery type became standardized as 'Bb' style and short oblique lines.
    In the fourth period, the number of the remains and artifacts decreased and there were some areas where no remains were found at all. It was thought that this stage was the period of extinction and decline of double-rimmed pottery, in that the abnormal patterns called 'no pattern tendency' emerged in the peripheral areas of the distribution sphere of double-rimmed pott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신석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