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후반 영국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의 사랑 담론 수용 연구 - 최정익(崔正翊)의 「D. H. 로렌쓰의 《性과 自意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 of Love Discourse from the New English Psychological Literature in th late 1930s - focused on Jungik Choi's 「D.H. Lawrence's sexuality and self-consciousnes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10
36P 미리보기
1930년대 후반 영국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의 사랑 담론 수용 연구 - 최정익(崔正翊)의 「D. H. 로렌쓰의 《性과 自意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67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오주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30년대 후반 영국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의 사랑 담론 수용 양상을 최정익(崔正翊)의 「D. H. 로렌쓰의 《性과 自意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백철이 불안의 시대로 명명한 1930년대 후반의 세계사적 상황은 문단에 내면으로의 전환의 경향을 만들고 이 때 등장한 것이 심리주의를 표방한 문학 작가군으로서의 『단층』 동인이었다. 이 들 중 최정익은 영국의 신심리주의 소설가의 대표자인 D. H. 로렌스의 사랑 담론을 논문 수준으로 진지하게 다루고 있어, 이 논문을 통해 당대의 D. H. 로렌스 담론의 수용 양상을 다루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신심리주의 문학의 사상적 배경의 형성과정과 D. H. 로렌스의 사랑 담론의 수용 과정을 다루고자 하였다. 1절에서는 신심리주의 문학의 사상적 배경의 형성 과정으로 윌리엄 제임스 자의식 개념, 앙리 베르그송의 지속 개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 개념을 개략적으로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2절에서는 1930년대 후반의 D. H. 로렌스의 사랑 담론의 수용 과정을 한흑구, 최재서, 김영석의 글을 중심으로 그 핵심을 소개하였다. 한흑구는 니체와의 관련성을, 최재서는 영국청교도와의 관련성을, 김영석은 프로이트, 융, 베르그송과의 관련성을 밝힌 데 의의가 있었다.
    III장에서는 1930년대 신심리주의 문학의 사랑 담론의 심화된 양상을 최정익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1절에서는 최정익의 D. H. 로렌스론의 심화된 양상으로서 「D. H. 로렌쓰의 《性과 自意識》」이 당대의 최고 수준의 D. H. 로렌스론임을 밝혔다. 그러나 2절에서는 막상 그의 사상을 적용한 소설 창작품인「자극의 전말」에서는 결국 시대에 대한 허무와 관습적인 도덕에서 벗어나지 못 한 남성지식인 상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D. H. 로렌스의 수용의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정익의 논문과 작품에서의 그러한 성과와 한계는 1930년대 후반 D. H. 로렌스를 중심으로 한 영국 신심리주의 문학 수용의 과도기적 성격으로 평가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xuality and the self-consciousness in the texts of La Dislocation (1937~8) focused on D. H. Lawrence's influence. La Dislocation i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to claim to stand for a kind of psychologism.
    Jungik Choi accepts the theory on the love of D. H. Lawrence. 〈the sexuality and the self-consciousness of D. H. Lawrence〉(Jungik Choi, 1937) is the essay showing the influence of D. H. Lawrence to La Dislocation. The theory of D. H. Lawrence is a kind of vitalism to resist the decadence of Western civilization. He regards sexuality as the essence of life. He criticizes the surplus of the self-consciousness.
    “The whole course of the stimulus; 刺戟의 顚末”(Jungik Choi) covers the sexual deviation of an intellectual, ‘I’. But ‘I’ choose the conversative morality in the end.
    The author commonly accepted the theory of D. H. Lawrence. He covered the problem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sexuality and the self- consciousness. But he was different in the extents of the acceptance of D. H. Lawrence's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