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睨觀 申圭植의 국권회복운동 방략과 실천 (The Strategy and Practice of Shin Gyu-sik’s Movement for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睨觀 申圭植의 국권회복운동 방략과 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 / 103호 / 61 ~ 93페이지
    · 저자명 : 박걸순

    초록

    睨觀 申圭植(1880~ 1922)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오롯이 자주독립의길을 걸은 인물이다. 그런데 그의 망명 이전 국권회복운동 활동에 대해 몇 가지해소되지 않은 의문이 있고, 과장된 행적이 비판적 검증 없이 재생산되는 실정이다.
    본고는 처음으로 文義郡量案 의 분석을 통해 그의 토지소유 관계 등 사회경제적 상황을 규명하였다. 또한 漢城府戶籍 과 일제 비밀문서를 통해 그의 망명자금의 규모도 추산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 그가 신채호, 신백우 등 이른바‘山東三才’와 함께 향리에 文東學院(1901), 德南私塾(1903)을 잇달아 설립하고강사로 활동하였다는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동학교는 1908년 5월 靈 川學契를 계기로 설립된 것으로 바로잡았다. 또한 덕남사숙은 1914년 폐교된문동학교의 교명을 변경한 것으로 확인하여 예관은 물론 단재의 활동과 전혀무관한 것임을 밝혔다. 군대해산 이후 예관은 본격적인 실업구국운동에 나섰다. 대한협회 실업부회원, 皇城廣業會社의 설립과 운영, 특히 1908년 9월 공업연구회 조직과 이듬해 사장 겸 발행인으로서 ≪工業界≫ 발간을 주도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신규식은 대한제국 시기 의병, 교육구국, 실업구국 등 총체적 방법론을 동원하여 국권회복을 모색한 대표적 인물로 평가하여야 마땅하다.

    영어초록

    Shin Gyu-sik(1880~1922) was a person who independently walked the path of independence in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there are some unresolved questions about his activities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before exile, and his exaggerated actions are reproduced without critical verification. For the first time, this paper investigated socioeconomic situations such as his land ownership relationship through analysis of the Japanese secret documents.
    There is an opinion that Mundo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01 and Deoknam Sa-sook in 1903, but the analysis of the data confirmed that Mundo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08. In addition, Deoknam Sa-sook confirmed that it was built in 1914 after Shin Se-sik and Shin Chae-ho defected, revealing that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m.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military, he launched a full-fledged national rights restoration campaign, including the education movement and the unemployment movement.
    Shin Gyu-sik deserves to be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ought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y mobilizing overall methodologies such as righteous army, educational salvation, and unemployment salvation during the Korean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