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연>: ‘신여성’ 재현에서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경합 (A Study on The Realation of Nationalism and Feminism in Representation of 'New Women' : Focused on Blue Swallow)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7.11
20P 미리보기
&lt;청연&gt;: ‘신여성’ 재현에서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경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1호 / 85 ~ 104페이지
    · 저자명 : 권은선

    초록

    본 글은 <청연>을 둘러싼 논쟁들, 그리고 하나의 담론 체계인 <청연>의 분석을 통해서, ‘신여성’에 대한 동시대의 역사적 상상력 및 담론들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침윤되어 있는 민족주의의 내용과 그 작동방식을 밝혀내고, 그것이 젠더와 맺는 경합 적이고 갈등적인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청연>을 둘러싼‘친일파’논쟁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논의 지점들을 제공한다.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 함의는 식민지 조선에서 신여성 담론이 구성된 방식과 관계가 있다. 많은 부분‘신여성’은 식민지 남성 지식인들이 서구/일본 근대에 대해 가졌던 욕망과 불안을 투영한 환유적 기호였다. 그들은 정체성의 위기와 불 안을 신여성의 젠더와 섹슈얼리티로 치환시키고 여성의 타자화를 통해서 도덕적이 고 근대적인 주체를 설정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 조선에서의 신여성에 대한 남성중심적인 담론화는 해방이후 한국전쟁과 민족 분단, 그리고 군사정권에 의한 파시즘 시기를 거치면서 저항 민족주의 담론 속으로 흡수되었다. 동시대의 저항 민족주의 담론 하에서 여성적 자의식은 민족 적 대의에 대한 헌신을 담보하는 한 아무런 제약 없이 민족담론 속에 포섭되며, 그렇 지 않을 경우 반민족적인 행위에 대한 비난의 전거가 된다. 프롤로그부터 탈역사화되고 탈정치화된 태도를 드러내는 <청연>은 무/의식적으로 식민지 신여성이 경험했을 법한 민족적, 젠더적, 계급적 억압들을 지워내거나 치 환시키고 있다. 본연구는 면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특히 박경원과 기베, 그리고 한지혁이라는 인물의 설정과 그 서사적 기능에 주의하면서, <청연>속에 하나의 커다 란 치환의 구조가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것을 통해 본 연구는 <청연>이 박경원으로부터‘친일협력’이라는 역사적 짐을 최대한 덜어내고자 한다고 주장한다.<청연>은 분명‘친일파 영화’는 아니다. 그러나 의식적 무의식적 차원에서 동시대저항 민족주의 담론이 텍스트에 깊게 침윤되어 있는 것이다. 혹은 그에 대한 자기 검 열의 결과이다. 동시대의 민족주의 담론의 시선 아래서, 반민족적인 함의를 벗어나 기 위해 탈역사적인 공간을 상상할 때, 억압되는 것은 바로 신여성의 행위 주체성이 다. 식민지 여성에 대한 묘사는 민족, 젠더, 식민적 상황을 초월하는 공간이 아니라 역으로 이 조건들이 부단히 절합되고 모순되고 충돌하는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work examines the relation of nationalism and representation of 'New Wome‘ by analyzing Blue Swallow and debates surrounding it.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contents of nationalism which pervaded the contemporary imaginations and discourses of 'New Women'.
    The negative connotation of 'New Women' in Korean society has to do with the ways that New Women discourses has formed since 1920's. New women was the metonymic sign that male colonized intellectuals projected their desire and anxiety of the western/Japanese modernity on women. This male-centered discourse of New Women in colonized Chosun was absorbed into anti-Japan nationalist discourse after liberation. Under the gaze of nationalism, women's self-consciousness is safely integrated into nationalist discourse, if it commit to national intent.
    Blue Swallow displac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e various layers of repressions that women have experienced at colonial time and space. I attempt to explain that there's a certain structure of displacements in Blue Swallow, especially.
    pay close attention to characterization of main figures and it's narrative function. By examining these feature, I emphasize that the film shake itself free from historical burdens of anti-nationalistic implication.
    This means that today's reinforced nationalism in Korean society pervades un/consciously the text. It also refers self-censorship of nationalism. However the description of New women of colonial period should be done at a mid of time and space that nation, gender, and colonial modernity are continuously articu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