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손진태의 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 (Son Jin-tae’s Concept of the Nation and Neo- nationalistic descriptions of Korean Histo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3.12
36P 미리보기
손진태의 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술 / 11호 / 127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정선

    초록

    본 논문은 1946~1949년 간행된 한국사 개설서를 중심으로 손진태의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손진태의 조선사 연구 방법론과 역사서술은 중간파의 현실 인식을 반영했다.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소의 분할 점령과 좌우 대립의 소용돌이에 빠졌고냉전 체제가 형성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손진태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진정한 민족국가가 수립되기를 바랐다. 진정한 민족국가는 내부적으로는 무계급·민주주의 국가이고, 외부적으로는 민족자주·국제친선 국가였다. 이를 실현할 정치 이념이 신민족주의였다. 손진태는 신민족주의를 토대로 조선사를 서술하고 교육함으로써 민족국가 수립에 기여하고자했다. 둘째, 손진태는 당시에 존재하던 조선 민족을 단일민족이라고 했지만, 민족의 동질성이 민족의 우수성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일민족인 조선 민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했다. 손진태가 조선 민족의 기원을 단군이 아니라 원시 퉁구스족에서 찾은 것은 역사학과 인류학·민속학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 결과였으며, 역사를 왕조 중심이 아니라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아우르는 진정한 민족을 중심으로 서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의 산물이기도 했다. 또한 원시 퉁구스족이 조선 민족으로 바뀌는 과정을 다루면서는, 조선 민족의 외양(집단·영토)과 민족의식을 모두 고려했다. 조선민족의 외양은 신라의 삼국통일과 조선의 영토 확정으로 완성되었지만, 민족의식은 외세와의 대립 또는 투쟁의 유무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질수도 있었다. 셋째,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가 진정한 민족국가 수립의 가장 큰 방해물이라고 보고, 그를 강력히 비판했다. 귀족지배체제는 삼국시대 이래 지배층이 민중의 정치적 권리를 빼앗아 형성되었고, 지배층이 서로 권력을다투며 피지배층을 착취하였으므로 결국 민족을 분열시키고 외세의 침략을 초래하여 국가를 멸망시키기에 이르렀다.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를 타파하려면, 선거를 통해 피지배층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토지 분배를 통해 재산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안으로 무계급·민주주의 국가를 이룩해야만 민족이 단결할 수 있고, 약소민족은 진정한 민족의단결을 통해서만 외부의 강대국에 대항할 힘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손진태의 역사학에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그의 개념에 따르면, 당시 사회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가짜 민족주의가 지배적인 귀족국가체제였다. 무계급·민주주의 사회로 바꾸고 신민족주의가 실현된 진정한 민족국가를 만드는 일은 미래의 소망이었다. 손진태는 이 과정에 기여하기 위해 조선사를 서술하고 국사를 교육했다. 하지만 바람과 달리 무계급·민주주의 사회가 실현되지 않을 때, 그 와중에 강대국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단결해야 할 때, 피지배층이 평화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것 외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 선거는 미래의 민족국가에서는 유효하겠지만 현재의 귀족국가체제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 이를 공백으로 남겨둔 채 현실에 개입하려는 손진태의 역사학은 무기력할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n Jin-tae’s concept of the nation and neo-nationalistic descriptions of Korean history focusing on introductory books published from 1946 to 1949. First, Son Jin- tae’s research methodology and historical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reflected the moderate-wing’s perception of reality. After liberation form Japanese colonial rule, the Korean Peninsula fell into a vortex of divisional occupation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nd left-right confrontation of Korean resulted in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under the formation of the Cold War system. Son Jin- tae hoped to overcome this situation and establish a true nation-state.
    Internally, the true nation-state was a non-class and democratic state, and externally, a nation-independent and international friendly state.
    The political ideology that would realize this was neo-nationalism. Son Jin-tae tri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rue nation-state by describing and educating Korean history based on neo-nationalism.
    Second, Son Jin-tae called the Korean people that existed at that time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but said that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did not mean the excellence of the nation, and that the Korean people,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were historically constructed.
    Son Jin-tae’s finding of the origin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rimitive Tungus, not Dangun, was the result of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of history, anthropology, and folk studies. And it was also the product of a thought that history should be described not centered on dynasties but the true nation that encompass the ruling and the underprivileged. In addition, while describ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imitive Tungus into the Korean people, both the form (population and territory) and national consciousness were considered. The form of the Korean people was completed by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dynasty and the determination of territory during Joseon dynasty, but national consciousness could be strengthened or weaken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frontation or struggle with foreign powers.
    Third, Son Jin-tae strongly criticized the aristocratic governance system, seeing it a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of a true nation-state.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aristocratic governance system has been formed by the ruling class taking away the political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ruling class fought for power and exploited the underprivileged, eventually dividing the nation and causing foreign aggression and destroying the country. Son Jin-tae argued that in order to break down the aristocratic governance system,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elections and that property should be equalized through land distribution. Son Jin-tae considered that only when a non-class and democratic state is established inside, the people can unite, and only when the people is united, the weak people can have the power to counter external superpowers. However, there is a decisive limit to Son Jin-tae’s neo-nationalistic descriptions of Korean history. According to Son Jin-tae, society at that time was still unequal and a aristocratic governance system state dominated by fake nationalism. It was the wish of the future to change to a non-class and democratic society and create a true nation- state in which neo-nationalism was realized. Son Jin-tae described Korean history and taught Korean history to contribute to this process.
    However, he did not tell what the underprivileged class can do other than participate peacefully in elections when a non-class and democratic society is not realized, contrary to the hope, and when they must unite to counter external superpowers the meantime. Elections will be valid in the future true nation-state period, but they are difficult to work effectively in the current aristocratic governance system state. Because it was left blank, Son Jin-tae’s historical research was also help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