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일본학계의 『일본서기』 연구동향과 신공・응신・인덕기 (Recent trends of the Nihonshoki(日本書紀) studies in Japan, and the “Jin’gu-ki(神功紀),” “Oh’ujin-ki(應神紀)” and “Nintoku-ki(仁德紀)” Chapter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6
47P 미리보기
최근 일본학계의 『일본서기』 연구동향과 신공・응신・인덕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20호 / 29 ~ 75페이지
    · 저자명 : 박찬우, 신카이 사키코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일본학계의 『일본서기(日本書紀)』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세부적으로 한국 고대사와도 밀접한 신공기(神功紀)・응신기(應神紀)・인덕기(仁德紀)에 관한 연구성과를 소개한 것이다.
    1장에서는 최근 『일본서기』 연구의 주요 쟁점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문헌 분야에서는 출전론(出典論), 텍스트론, 구분론(區分論), 편수론(編修論)으로 나누어 정리했고, 고고학 분야에서는 7세기 목간 자료와 『일본서기』 연구의 상관관계를 다루었다.
    2장 1절에서는 신공기・응신기・인덕기에 관한 연구동향을 정리했다. 3명의 천황에 관한 설화의 형성과정이나 후대의 윤색, 인물상(人物像)에 관한 연구가 두드러지며, 텍스트 자체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다. 2장 2절에서는 신공기・응신기・인덕기의 한국관계기사에 관한 연구를 정리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의 고고학 성과를 토대로 한 도래인(渡來人) 연구, 텍스트 비판을 통해 5세기 국제관계를 새롭게 조망하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
    최근 일본학계의 연구는 대체로 『일본서기』를 통한 당대사의 복원보다는 텍스트 자체나 편찬 시점의 사정에 주목하고 있다. 『일본서기』에 8세기 율령국가의 관념이 투영되어 많은 윤색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고고학 성과나 새로운 사료비판 방법론을 토대로 『일본서기』의 내용을 재인식하려는 시도 또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주목해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Nihonshoki(日本書紀) has been studied in Japan since the 1990s, and what have been the main points of contention. Also presented here are studies of “Jin’gu-ki(神功紀),” “Oh’ujin-ki(應神紀)” and “Nintoku-ki(仁德紀)” chapters, which also contain references related to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n part 1 of this article, trends and contention points recently featured in Nihonshoki studies are first examined. Regarding studies that dealt with the Nihonshoki text itself, those which focused on all the sources cited(出典論), or the contents of the text, how it was structured(區分論) and how it was compiled(編修論) are reviewed. Meanwhile, for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Nihonshoki studies and the 7th century wooden “Mokgan” tablets is spotted and reviewed.
    Next, in the first half of this article’s part 2, individual studies of the “Jin’gu-ki,” “Oh’ujin-ki” and “Nintoku-ki” chapters are examined. Many of them have focused on how the myths for the three Denno Emperors were formed, how those myths were changed or altered in later periods, and how past historical figures were depicted and described(人物像), while also quite a few of them focused on each of the aforementioned chapters. Following a review of those studies, several other studies that have analyzed certain references to Korean-Japanese exchanges and relations, which can be found from all the three chapters, are examined in part 2’s second half. Noteworthy ones among such studies include ‘immigrant(渡來人) studies’ based on archaeological findings that have been newly secured since the 1990s, as well as the reexamination on the 5th century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hich demands new interpretations of existing texts.
    Recently in terms of Nihonshoki studies, the Japanese academic circle seems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text itself or the time when compilation of the text actually occurred, than it is in recreating past history based on this very text. Such pattern probably is due to Nihonshoki being generally viewed as a product of significant embellishment of historical facts based on the 8th century Japanese people’s idea of(or aspiring for) a Legal State. In the future, we should monitor certain new attempts that may appear in Japanese studies, like approaching Nihonshoki from a different angle based on archaeological findings or new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