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명식의 문예론-『신생활』의 글을 중심으로- (Kim Myung-sik's Literary Theory-focusing on writings in “New Lif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3.02
32P 미리보기
김명식의 문예론-『신생활』의 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68호 / 157 ~ 188페이지
    · 저자명 : 전성규

    초록

    이 글은 『신생활』 에 실린 김명식의 글을 중심으로 문예론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두었다. 김명식은『신생활』 내에서 신문화운동의 방향성을 ‘문학운동’으로 노정하고 이를 이끈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신생활 제3호에 실린 『로서아의 산문학』 은 『신생활』 안에서 문예물의 번역의 방향을 결정하고, 『신생활』 이 주창한 “평민문학”의 정의를 내리는 데에 매우중요한 텍스트로 역할하였다. 로서아의 산문학 은 김명식이 1921년 6월부터 약 3개월간 『동아일보』 에 연재한 니콜라이 레닌은 어떠한 사람인가 에 모태를 두고 있는 글이다. 김명식은 『로서아의 산문학』에서 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가장 후진인 러시아에서 혁명이 성공한이유를 지속적으로 질문하는데 이 질문은 『니콜라이 레닌은 어떠한 사람인가』 에서부터 본격화한다. 『로서아의 산문학』에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1800년대 중후반 러시아의 리얼리즘 문학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는 투르게네프, 고리키 등 민중 현실과 이상을 균형감 있게 매개하는 문학의 등장이 현실의 혁명을 견인하였다고 보았다.
    김명식의 러시아 혁명에 대한 종합적 탐구와 이에 기반한 러시아 문학에 대한 높은 관심은 일본 문학장을 경유하여 생성된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1910년대 중후반에서1920년대 초반에 걸쳐 일본 문예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된 민중예술론의 영향이 주목된다.김명식은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하며 이들이 분노나 증오와 같은 ‘생(生)’의 감정을 자유롭게 분출할 수 있는 예술기관이자 투쟁기관으로서 문학을 인식하였는데 이러한 사유는 오스기 사카에(大杉栄)의 민중예술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오스기 사카에는 로맹 롤랑의 『민중극』, 생철학, 아나키즘,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 등을 수용하며 생명주의에 입각한 민중예술론을 정립하였다. 그 과정에서 러시아 문호들의 작품은 큰 영향을 끼치는데, 오스기 사카에가 혁명 이전 러시아 리얼리즘 작가를 읽은 특정한 독법의 영향이『신생활』 에 실린 김명식의글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주목을 요한다. 이 글에서는 김명식의 글의 흐름의 원천을 따라가면서 『신생활』 이 주창한 평민문학의 개념화와 지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ory, focusing on Kim Myung-sik's writings published in “New Life”. Kim Myung-sik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et the direction of the new culture movement as a ‘literary movement’ within “New Life” and led it. “Literature conceived by Russia” served as a very important text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within the New Life, and defining the ‘People’s Literature’ advocated by the New Life. In “Literature conceived by Russia”, Kim Myung-sik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role of realism literature in Russia in the mid to late 1800s as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in Russia, which is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he most backward. He saw that the emergence of literature, such as Turgenev and Gorky, that mediates ideals and realities in a balanced way, drove the revolution in reality. “Literature conceived by Russia” has its origins in “What kind of person Nikolai Lenin is”, which has been serialized in the Dong-A Ilbo since June 1921.
    Kim Myung-sik's interest in Russian literature is not a result of direct access to Russian literature, but rather it can be seen that it was born through Osugi Sakae(大杉 栄)'s theory of popular art. In the late 1910s and early 1920s, Osugi Sakae accepted Romain Roland's “People's Drama”, biophilosophy, anarchism, and Russian realism literature, and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popular ar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with Osugi Sakae's position in recognizing the public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recognizing literature as an art institution where people(Min-Jung) can freely express their emotions of anger or hatred and an institution of strugg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