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인의 소비욕망은 자유의 증대를 가져 오는가? -폭력의 문제를 통해 본 신(新)개인주의 논쟁의 한계- (Le Désir de Consommer Contribue-t-il à L'augmentation de la Liberté Chez les Modern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11
33P 미리보기
현대인의 소비욕망은 자유의 증대를 가져 오는가? -폭력의 문제를 통해 본 신(新)개인주의 논쟁의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44호 / 233 ~ 265페이지
    · 저자명 : 김원철

    초록

    1980년대 프랑스에서 벌어진 ‘신(新)개인주의논쟁’은 근대성의 원리에 대한 상이한 해석에 기반한 두 학파 간의 논쟁이었다. 개인주의의 핵심을 전통으로부터의 해방으로 이해한 신토크빌주의자들은 개인의 독립성을 근대성의 원리로 상정한다. 그들은 현대의 소비주의에서도 그러한 해방을 목격한다. 이에 맞서 신하이데거주의자들은 문화마저 상품화시켜버리는 현대의 대중문화를 개인주의의 산물로 본다. 쾌락의 원리에 예속된 개인주의는 참된 의미의 해방이 아니라 소비만능주의를 부추기는 거짓된 해방일 뿐이라 폄하하며, 그들은 칸트적 의미의 자율성을 근대성의 참된 원리로 천명한다. 신(新)개인주의 논쟁의 중심에는 이처럼 소비의 문제가 마치 두 입장의 분기점처럼 작동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소비욕망은 이 논쟁에서 부차적인 문제로 다루어진다. 왜냐하면 논쟁의 양 진영 모두가 근대적인 주체 개념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데카르트적 주체가 세계와 맺는 관계는 기능적인 것인 데 반해, 소비자가 세계와 맺는 관계는 본질적으로 유희적인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의 소비욕망을 그것의 내재적 역동성에 따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성이론의 편협한 틀을 탈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폭력의 문제를 통해 이러한 탈피를 모색했는데, 이는 사회학에서 폭력의 문제가 근대성이론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계기가 되었던 점에서 착안한 바이다. 철학적 인간학에서 보자면, 폭력의 문제와 소비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욕망모방의 두 가지 표현이다.

    영어초록

    Des années 1980, le fameux débat sur le néo-individualisme a eu lieu en France entre les deux écoles philosophiques qui s'opposent au fond dans leur conception de la modernité. L'école néo-tocquevillienne fait de l'individualisme le principe de la modernité en caractérisant l'essentiel de l'individualisme par l'indépendence des individus vis-à-vis de toute la tradition. Par contre, l'école néo-heidéggerienne n'y voit que l'effet de la culture de masse, culture qui finit par commercialiser même les oœvres d'art. En dénonçant ainsi l'indivudualisme comme pseudo-libération du consommatisme, cette école reconnait le vrai principe de la modernité à l'autonomie du Sujet dans son sens kantien. Nous constatons que le problème de la consommation se trouve dans le vif du débat comme le point d'articulation entre les deux positions. Cependant, ce problème ne pouvait être traité que de façon subsidaire, dans la mesure où les deux écoles tenaient également au concept cartésien du Sujet. Alors que le consommateur s'occupe du monde de façon essentiellement ludique, le Sujet cartésien le fait dans une perspective fonctionnelle. Pour comprendre la consommation en tant qu'activité ludique de l'homme, il est donc fort requis d'éviter le cadre d'argumentation de la théorie de la modernité. A ce propos, nous aurons recours à la sociologie de la violence, en ce qu'elle a pour effet une remise en question de la modernité. A la fin, notre étude visera une anthrophologie philosopique dans laquelle le problème de la violence et celui de la consommation s'identifient sous la catégorie du désir mimétiq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