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생활』의 사회주의 담론과 문예의 특성 (The Social Discussion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New Lif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3.10
24P 미리보기
『신생활』의 사회주의 담론과 문예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32권 / 199 ~ 222페이지
    · 저자명 : 김종현

    초록

    본고는 1920년대 프로문학의 형성과정을 보다 정치하게 규명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신생활』의 사회주의 담론과 문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신생활』에서 사회주의는 개조론을 중심으로 담론화 되었는데, 개조론자들은 정신과 물질의 개조를동시에 주장했다. 개인의 정신을 개조한 다음 개조된 정신을 토대로 행동해야 제도와 사회의 개조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인격 개조를 통한개성의 발현을 목표로 하여 개조론을 담론화 했고, 교육의 목표 또한 본연의 개성을 조장하여 知情意를 자연적으로 계발하는데 두었다. 『신생활』에 연재된 문예는 이와 같은 개조론의 연장선상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개조론의 필진이 곧 소설의 작가, 번역자로 활동했으며, 작품의 선택권을 편집진이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편집진이 요구하는 사상적 경향에 부합하는작품만이 연재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활』에 연재된 소설은 사회주의담론의 문예화였다고 해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신생활』의 소설은 내용상 세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경향은 개조의 목표였던개성 과 타인과의 관계를 역설하고 있으며, 두 번째 경향은 개성 을 억압하는 불합리한 생활을 비판하고 있다. 세 번째 경향은 계급적 대립을 선명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인간의 개성 이 자유롭게 발현되는 사회주의적 이상 세계를 지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check the social discussion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New Life> as the part of study to determine the social discussion and the literary aspect in the first half of nineteen twenties. Socialist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discussion of <New Life> tried to rebuild the social system and the personality. Therefore, they claimed that Joseon people should be rebuilt to be the individual leading the life where the self is completed and realized by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 of system. The power of Christianity understood the existence purpose of religion in the community relation sharing their fate with Joseon. Namely the religion is not necessary to be existed if the religion that has to play the role of salt in the society can not finish its role. The role the religion has to do this time was the extension of life rightly. The literature published serially in <New Life> desired to leteralize the emotion and the life of public. The literatures published serially may be classified to the tendencies of 3 kinds based on the contents. The first tendency is to maximize the misery of reality the laborers are confronted. The second tendency is the contents emphasizing the appropriateness of socialist revolution, the third is emphasizing the value itself of life. Consequentially, the literature of <New Life> might be published serially to reproduce and to magnify the social discu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