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The Formation of the ‘New Publication System’ Policy and the Circumstances of Literary World in Colonial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9.05
44P 미리보기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6호 / 195 ~ 238페이지
    · 저자명 : 이종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40년대 ‘출판신체제’의 구체적인 내용과 의미를 규명하고, ‘출판신체제’의 구축 속에서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들이 겨냥하고자 한 지점들을 살피는 데 있다.
    1940년 제 2차 고노에(近衛) 내각은 ‘신체제’ 수립이라는 국책의 목표를 제시한다. 이 ‘신체제’는 기존의 국민국가의 형태를 넘어서는 광역국가, 블록경제의 구상 및 실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신체제’의 하위 부문으로 ‘출판신체제’가 내지 일본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이것은 국가가 전면에 나서서 출판물의 시작과 끝을 통제하는 방식을 의미했다. 기존의 출판물에 대한 사상적 통제방식인 검열을 넘어서, 출판물의 생산, 유통, 소비 영역에 대한 전면적 통제가 구상되고 실현되었다. 그리고 출판물의 유통망은 대동아공영권으로 확장되었다.
    제국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도 이러한 ‘출판신체제’에 절합되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출판의 생산 영역은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하는 통제체제 속에 놓이는 한편, 그 유통 영역은 내지 일본을 정점으로 하는 대동아공영권으로 빨려 들어가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작동하기 시작했다. 요컨대 ‘출판신체제’를 통해, 출판의 유통 영역은 광역화되는 한편, 그 생산 영역은 지역적 통제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출판신체제’ 아래에서 조선문학의 공간은 내지 일본을 경유하여 대동아공영권으로 확장되기 시작했고, 출판 시장 역시 국어라는 일본어를 매개로 하여 조선이라는 지역적 경계를 벗어나고 있었다.
    ‘출판신체제’로 인해, 확장되는 유통망과 문학공간은 조선의 문학자들에게 새로운 공간 감각과 욕망을 형성시켰다. 즉 대동아공영권이라는 확장된 유통망이 제공하는 현실감과 환상은, 조선의 문학자들에게 언제든지 대동아공영권의 중앙이나 변방 어디로든 진출할 수 있다는 환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러한 확장의 욕망과 상상력은 한편으로는 지역적 마디의 관리와 통제를 아래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본 제국의 중심 혹은 세계에 대한 욕망과 지역적 통제의 현실 속에서 방황하는 문학자들이 생겨났다. 국가 및 자본의 통제 규격에 맞게 가공된 출판 상품을 통해 어디든지 갈 수 있었지만, 정작 그 생산자인 문학자는 언제나 지역적 관리나 통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사태가 반복적으로 연출되는 상황, 그것이 출판신체제가 만들어낸 한 국면이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verify the concrete contents and meanings of 1940's 'New Publication System' policy and inspect closely on what the men of letters in the colonial Korea set their sights.
    In 1940, Konoe's 2nd Ministry presents so-called 'New System' as national policy. It meant the formation and realization of the expanded state and the block economy which would arise above the national state. The 'New Publication System' has been constructed centering around the inland Japan. It has meant that the state would've come to have full control over the length and the breadth of publication. It has gone far beyond the general censorship and materialized the power of control over every process such a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ll publications. And the distribution network has expanded to all over 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Korea, a colony of Japanese Empire, too, has articulated in the 'New Publication System'. In colonial Korea, the field of the production in publication has been controll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nd the distribution by 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entering around Japan, the fixed point. Thus the whole process of Korean publication has become a constituent unit of the large organic construct. After all, on one hand, the 'New Publication System' has made the field of distribution broader, on the other hand, the sphere of production has become under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 Thus through the 'New Publication System', the space of Korean literature has begun to expand towards 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via the inland Japan, and through the medium of Japanese language (the official language), the market has become wider out of local range.
    As a result of the 'New Publication System', the enlargement of distribution network and of literary space brought the Korean writers new space sense and strong desire. That is, the sense of reality and the fantasy brought by the expanded distribution network―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made the Korean writers possible to imagine that they could make their fame in the center or anywhere in 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However, the desire and the imagination has already been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local joint. So, the wandering writers came into being and the number has increased gradually, wandering over the desire towards the center of Japanese Empire or the world and the reality of local control. Their products could go anywhere under the effect of the new policy but the producers would never be free from the local management and control. This vicious circulation was the very phase made by the 'New Public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