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公山城 新出土 銘文資料 (The Written Materials Newly Excavated at Gongsan Fortr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6
20P 미리보기
公山城 新出土 銘文資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14호 / 171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초록

    본고는 2014년 사적 제12호 공산성 내 백제왕궁부속시설에서 새로이 확인된 옻칠갑옷의 명문을 중심으로 출토 현황과 의미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공산성 내 왕궁부속시설에서 출토된 옻칠갑옷과 명문은 백제멸망기의 정황에 대하여 흥미로운 해석을 유발한다. 즉 문헌에 기록이 남아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貞觀19年銘 옻칠갑옷의 존재와 명문은 문헌과 고고학 유물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수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옻칠갑옷에서 확인된 명문에서, 官職名과 人名, 地名, 年號 등을 통하여 정관19년(645)년의 역사적 정황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우선 관직명의 경우 2011년 조사에서 長史, 護軍, 司馬, 2014년 조사에서 參軍事, 大夫, 陪戎副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외교와 군사의 업무에 관계된 직명이 주를 이룬다. 그리고 ‘益州’로 판독된 지명은 『신당서(新唐書)』에 기록된 62주(州) 가운데 하나인 ‘蓋州’의 다른 표기로, 『三國史記』 髙句麗本紀와 『舊唐書』 東夷列傳 高句麗條, 그리고 ‘唐 劉仁願紀功碑’에 기록된 정관19년 4월 당 태종의 요동정벌 당시 盖牟城을 공격하여 빼앗아 설치한 蓋州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명문이 확인된 갑옷의 존재는 정관19년 5월 백제가 당태종에게 바친 금칠갑옷과 철제갑옷의 존재와 함께 검토될 수 있는 자료로 살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공산성 내 저수시설에서 출토된 명문 옻칠갑옷은 정관 19년(645) 4월 백제의 대당관계에서 제작된 산물로서, 갑옷의 제작과 관련된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기념비적 유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 lacquered armor and its meaning excavated from attached facilities of Baekje Palace at Gongsan Fortress focusing on a newly identified inscription on the lacquered armor. The lacquered armor and the inscription on it arouse interesting interpretation on circumstances in the dying days of Baekje. Without concrete evidence to prove the literature record, the lacquered armor with Jeong-gwan 19 years(貞觀十九年) and the inscription provide not only opportunities to review the meaning of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remains actively but also considerable information about the era.
    The inscription gives us a tip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n Jeong-gwan 19 years (貞觀十九年, 645 AD) through the names of offices, people, places, and eras.
    First of all, the names of offices were identified as Jang-sa(長史), Ho-gun(護軍), and Sa-ma(司馬) in 2011’s investigation; Cham-gun-sa(參軍事), Dae-bu(大夫), and Bae-yung-bu-○(陪戎副○) in 2014’s investigation. They are mainly the names of offices related to diplomacy and the military. ‘Ik-ju(益州)’, a name of place, is another name of ‘Gae-ju(蓋州)’, one of 62 Ju written in 『Shin-dang-seo(新唐書)』. It can be understood as Gae-ju(蓋州), which was built in Gaemo-seong(蓋牟城) conquered during Emperor Taizong of Tang’s conquest on Yodong area, recorded in Koguryo-bonki(髙句麗本紀) in 『Samguksagi(三國史記)』, Dongi-yeoljeon(東夷列傳) and Koguryo–jo(高句麗條) in 『Gudangseo(舊唐書)』, and an inscription on ‘Dang Yu-in-won Kigongbi(唐 劉仁願紀功碑)’. Further, the armor with the inscription can be examined along with a golden armor and an iron armor dedicated to during Emperor Taizong of Tang on May, Jeong-gwan 19 years(貞觀十九年) by Baekje.
    In brief, the lacquered armor excavated from the reservoir facilities in Gongsan Fortress was made on April, Jeong-gwan 19 years (貞觀十九年, 645 AD) in the relation between Baekje and Tang and is a monumental relic which bears a concrete record o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