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디오니시우스의 신적 본질에 대한 이해 : 신플라톤주의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해석 (Understanding of the Divine Essence by Pseudo-Dionisius : Christian Interpretation of Neoplaton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0.06
37P 미리보기
위-디오니시우스의 신적 본질에 대한 이해 : 신플라톤주의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36호 / 45 ~ 81페이지
    · 저자명 : 김형수

    초록

    위-디오니시우스는 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총체적인 신적 초월이 자기 전달의 사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를 답하고자 한다. 그는 신적인 본질을 신플라톤주의적인 사유 모델을 통해 단일성(henosis)과 구별(diakrisis)이라는 두 측면으로 이해한다. 이 두 측면은 신적 초월에서 보존되는 신적 본질의 단일성과 신의 계시로서 자기 전달의 형태로 발출되는 신적 본질의 구별이라는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해석된다. 이렇게 해석된 신적 본질의 두 계기는 감추어진 신과 계시된 신이라는 개념에서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신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존재론적인 체계로서의 위계(hierarchia)를 그리스도교의 창조에 대한 사유로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감추어진 신적 본질이 자기 전달의 형태로 드러난 존재의 위계는 신적 조명(illuminatio divina) 개념에 대한 고유한 이해를 통해 신플라톤주의의 단계적인 전달이 아니라, 신의 직접적인 존재 부여로서 창조의 의미로 전환된다. 무엇보다 이와 같은 신적 본질의 현현은 신비주의적인 의미에서 영혼의 상승을 통해 신과의 신비적 합일(unio mystica)을 목적으로 삼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승 과정에서 영혼은 무지와 어둠이라는 상징을 통해서 부정 신학적인 한계에 부딪히며, 대상화될 수 없는 신적 본질은 이성적 언어를 벗어나서 감정적이고 가치 의미적 차원에서 새로운 모습을 드러낸다. 이러한 새로운 신적 본질의 특성은 위-디오니시우스에 의하면 창조로서 존재의 위계를 통해 현현되는 사랑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신적 사랑은 발출과 귀환의 원동력으로서 자신을 망각하고 자신을 온전하게 쏟아 부으면서 헌신하는 몰아적 사랑(ekstasis)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더욱이 좋음, 아름다움과 동일시되는 신적 사랑은 신적 본질의 핵심적인 점으로서 자신을 온전히 펼쳐서 드러내어서 만물의 존재로 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으로서 자신 안에 초월적인 하나로 여전히 머물러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같은 정도로 만물을 자신에게 끌어당기는 힘과 능력이다. 위-디오니시우스가 신적 본질의 온전한 드러남으로서 이해하는 위계적 공동체는 신적 조명에 의해 각자에게 주어진 신적 존재와의 닮음에 따라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도 헐거운 여유가 넘치는 신적 본질의 상징이다. 이 공동체는 그 안에서 신의 사랑을 발견하며, 여기서 구성원들은 각자의 고유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통해 사랑의 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이 공동체는 신에게로 가까이 다가가는 신화(theosis)의 공동체로 나아간다.

    영어초록

    Pseudo-Dionysius wants to answer how the total transcendence of God can b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self-transmission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God. He understands the divine essence in two aspects: the unity(henosis) and the distinction(diakrisis) through the Neoplatonic thought. These two aspects are interpreted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of a distinction between the divine essence that is preserved in divine transcendence and the divine essence that emerges in the form of self-transmission as divine revelation. The two moments of the divine essence interpreted in this way are further deepened in the concept of a God both hidden and revealed. This perception of the essence of God is a basis for understanding hierarchy, the ontological system as a reason for Christian creation. The hierarchy of beings, whose hidden essence is revealed in the form of self-transmission, is converted into the meaning of creation as a direct existence of God through a uniqu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vine illumination(illuminatio divina), rather than a step-by-step transmission of Neoplatonism. Above all, the manifestation of this divine essence aims at the mystical unity(unio mystica) with God through the ascension of the soul in a mystical sense. However, in this process of ascension, the soul is confronted with a negative theological limit through the symbols of ignorance and darkness, and the divine essence that cannot be objectified reveals a new aspect in an emotional and value-semantic dimension beyond rational language. The characteristic of this new divine essence is understood by Pseudo-Dionysius as a love manifested through the hierarchy of beings as creation. This kind of divine love as a driving force of procession and return is characterized by a self-effacing love(ekstasis), which is devoting oneself and pouring oneself out. Moreover, the divine love, which is equated with the good and beauty, is a core of the divine essence, and despite revealing itself fully and being intrinsic to all beings, it not only keeps itself as the transcendent One within itself, but also is a power and ability to attract all things to itself to the same extent. The hierarchical community understood by Pseudo-Dionysius as a full manifestation of the divine essence is a symbol of the divine essence that is full of loose space, even 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milarity with the divine beings given to each other by the divine illumination. This community finds God's love in itself, where the members advance to a community of deification(theosis) that draws closer to God by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of love through their own and varied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