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가락국 신화와 유목遊牧 야장신冶匠神의 전통 (Myths of Silla and the Karak State and the Nomadic Tradition of Blacksmith Mytholog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6
36P 미리보기
신라·가락국 신화와 유목遊牧 야장신冶匠神의 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59호 / 285 ~ 320페이지
    · 저자명 : 강은해

    초록

    신라와 가락국은 공동체의 축제 속에서 건국시조신을 맞이하는 등 여러 측면에서문화적 동질성을 공유한다. 신라가 금관의 나라로 국내외로 각인되어 있듯 가락국 역시 금동관과 철기의 나라로 부각되었다. 가락국 ‘수로왕’이 하늘에서 하강할 때 부른노래 ‘구지가’는 신라 순정공의 부인 ‘수로’가 피랍되었을 때 ‘해가海歌’라는 제목을붙여 불려졌다.
    신라와 가락국은 지배집단의 성씨에서 김金씨 성을 공유하고 있다. 문무왕의 비문에 새겨진 15대조 태조太祖 성한왕星漢王이란 인물이 대두하면서 김金씨성의 역사는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 대답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에 담겨있다. 신라 문무왕의 15대조 성한왕은 곧 가락국의 김수로왕을 지칭하였다. 김씨 성의 전통은 신라김알지 보다 앞선 가락국 김수로왕이 양쪽 나라의 시원이 된다고 하겠다. 성한왕의 존재론은 그가 ‘투후秺侯’란 낯선 존재의 후손이란 점에서 또한 의문을 던졌다.
    김수로왕은 가락국 신화에서 나타나듯 쇠바다 김해의 야장신이다. 김씨 성의 유래가 쇠에서 비롯되었고 투후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연원은 한반도를 넘어 북방알타이(金山) 주변 공간으로 소급되었다. 흉노·투르크·몽골로 불리는 중앙유라시아유목공동체들의 야장신 전통은 신라·가락국 신화가 함축하고 있는 문화적 상징의 근원으로 연결된다.
    신라와 가락국의 건국신맞이 축제는 3월에 거행되었다. 중앙유라시아를 포함한 유목 야장신 숭상문화의 축제인 네브루즈 역시 3월의 전통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가락국과 신라의 시조신맞이 행사가 새로운 날을 여는 유목공동체 집단의 3월의 전통 네브루즈 속에서 조망될 필요가 있음을 제고하였다.

    영어초록

    Silla and the Karak State share a number of cultural similarities, including a ritual of welcoming founding fathers in the form of a communal festival. Silla has gain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 “golden crown” state, and the Kayak State likewise has been celebrated for its culmination of golden bronze and iron cultures.
    Similarly, the “Kujiga” (Song of Kuji) was a mythological song was sung by the Kayak people to greet their sovereign, implying that King Suro descended from heaven. Some parts of the song appear again in the “Haega” (Song of the Sea) of Silla, this time sung by the people when Lady Suro, the wife of Lord Sunjŏng, was abducted by a dragon.
    In addition to cultural similarities, historical narratives show political proximity between the two states governed by the same Kim clan.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n King Munmu's epitaph, King Sŏnghan was the founder and first king of Silla, although questions surrounding his existence have resulted in controversies over the origin of the Silla kingship. Yet, the record of the Karak Stat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learly substantiates the premise that KingSŏnghan and King Suro, the sovereign of the Karak state, are identical figures. In this view, since the history of the Kim clan was developed in the Karak state earlier than in Silla, King Suro can be considered as the forefather of the two states, rather than Kim Alchi, who was formerly believed to be the founder of Silla. Still the record regarding King Sŏnghan raises doubts, as he is also portrayed as a descendant of Tuhu (Marquis of Du in Xiongnu, enfeoffed by the Han Emperor).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s the representation of King Suro as the forefather of the two states in relation to the mythology of blacksmiths.
    In the myth of the Karak state, King Suro is portrayed as the clan's god of blacksmiths, Kimhae, translated into metal and the sea. Clan Kim's association with blacksmith mythology and with Tuhu implies that the origin of the Kim clan can be traced back to the Altai Mountains of Central Asia across the borders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blacksmith myth was widespread among the nomad tribes, including the Xiongnu, Turks, and Mongols.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King Suro and the blacksmith myths implies that the Silla and the Karak State originated from a group in Central Eurasia, and it also indicates that their cultures were influenced by the traditions of the nomadic communities. Silla and the Karak State observed the festival of celebrating their founding fathers (founding gods) in March, similar to the Central Asian spring festival of "Navruz," which is also held in March.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ritual of greeting the sovereign in Silla and the Karak State can be re-conceptualized in the broader context,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nomadic practice of “Navruz” in Central Eur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