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야기세계의 존재로 보는 『금오신화』의 독자성 – 『전등신화』와의 대비를 통하여 (Uniqueniss of Guemosinhwa(金鰲新話) in terms of the way story world i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0.12
50P 미리보기
이야기세계의 존재로 보는 『금오신화』의 독자성 – 『전등신화』와의 대비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58호 / 295 ~ 34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원

    초록

    이 논문은 『금오신화』의 독자성을 이야기세계의 존재 방식으로써 탐색하였다. 『전등신화』와 『금오신화』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존재 방식에서 이야기세계의 존재 방식을 추론한 뒤, 이를 작가의 집필 정황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다.
    『전등신화』에서 여주인공은 개방성을 띠어 존재한다. 이때의 개방성은 물리적 규범적 차원이나 소통의 차원에서 모두 나타난다. 그리하여 여주인공은 귀신이든 인간이든 마치 사람처럼 존재하여, 인식의 대상이 되고 인간사회의 규범을 따르며 그 사연이 이야기세계 내부에서 소통된다. 이와 달리, 『금오신화』의 여주인공들은 물리적 규범적 차원이나 소통의 차원에서 제한성을 띠어 존재한다. 오직 남주인공과의 관계에서만 존재가 드러나며, 이해하기 어려운 행위를 하고, 그들의 사연과 자취는 남주인공에게만 남는다.
    여주인공의 존재 방식은 여주인공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야기세계의 존재 방식을 함축한다. 『전등신화』의 이야기세계는 개방성을 띠어 존재한다. 즉 『전등신화』의 이야기세계는 매우 기이한 인물과 사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실제 세계의 일부인 양 다루어진다. 이에 비하면 『금오신화』의 이야기세계는 실제 세계에 대해 제한성을 띠어 존재한다. 『금오신화』의 이야기세계는 실제 세계의 일부인 양 제시되지만, 실제 세계의 존재 방식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존재론적 긴장을 형성한다.
    『전등신화』와 『금오신화』에서 이야기세계는 각각 개방성과 제한성이라는 고유의 성격으로써 실제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존재한다. 여기엔 복합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이 논문에서는 두 작품집이 집필되던 정황에 주목했다. 『전등신화』의 서발문을 검토하여 보니, 『전등신화』는 이야기세계와 실제 세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향유 방식에 놓여 있다. 또한 이를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에 여러 장치들을 제시했다. 이는 집필 당시에 공동체 지향적이었던 작가 구우의 개인적 처지와, 집단성을 띠어 향유되는 전기소설의 특성이 관여된 결과로 보인다. 『전등신화』에서 이야기세계는 실제 세계에 대해 독자성이 약하다.
    김안로의 기록과 여러 자료들을 검토하여 보니, 김시습은 문학적 의사소통에서 고립된 채 『금오신화』를 집필하였다. 즉, 그는 공적 글쓰기를 지향하지 않았고 자신의 글이 어떤 미적 규범에 따라 수용될지 알 수 없었다. 이는 이야기세계로의 몰입을 강화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금오신화』의 이야기세계가 실제 세계의 확장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것에서 이를 추론할 수 있다. 그만큼 『금오신화』의 이야기세계는 실제 세계에 대해 독자성이 강하다.

    영어초록

    I explored the Uniqueniss of Guemosinhwa(金鰲新話) in terms of the way story world is. For this, I deduced the way of existence of the story world from the way of being of the female protagonist.
    In Jeondeungsinhwa(剪燈新話), the female protagonist exist with openness. This openness manifests itself in terms of physical, norm and communication. Thus, the female protagonist, whether a ghost or a human, exists like a human. And she becomes the object of recognition, follows the norms of human society, and her story is communicated within the story world. In contrast, female protagonists of Geumosinhwa(金鰲新話) exist with limitations in terms of physical normative or communication. Her existence is revealed onl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le protagonist, and they perform 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eir stories and traces remain only with the male protagonist.
    The way of existence of the female protagonist implies the way of existence of the story world in that the way of existence is not a matter that can be selected. The story world of Jeondeungsinhwa(剪燈新話) exists with openness. The story world is treated as if it were part of the real world, despite the presence of very strange characters and events. Compared to this, the story world of Geumosinhwa(金鰲新話) exists with limitations to the real world. The story world of Geumosinhwa(金鰲新話) is presented as if it were part of the real world, but it forms ontological tension by not following the way of existence of the real world.
    In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Geumosinhwa(金鰲新話) , the story world exist in a relationship with the real world, each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of openness and limitation. This is related to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two collections were written. Examining the preface of Jeondeungsinhwa(剪燈新話), it takes an reading method that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story world and the real world.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involvement of the personal situation of the writer Gu-woo(瞿佑), who was community-oriented at the time of writ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ongi(傳奇) novel in which the writing and reading is collective. In Jeondeungsinhwa(剪燈新話), the story world has a weak identity with the real world.
    Examining Kim An-ro’s records and various materials, Kim Si-sup wrote Geumosinhwa(金鰲新話), isolated from literary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he was not oriented towards public writing and was unable to know what aesthetic norms his writing would be accommodated. This has had an effect on reinforcing the immersion into the story world.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 story world of Geumosinhwa(金鰲新話) does not exist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eal world. As such, the story world of Geumosinhwa(金鰲新話) has a strong uniqueness to the re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