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추전국시대의 귀신 담론 (Thought on Ghost-God(鬼-神) in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2.02
31P 미리보기
춘추전국시대의 귀신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 / 110권 / 39 ~ 69페이지
    · 저자명 : 홍다운

    초록

    본 논문에서는 춘추전국시대의 귀신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이하였는지를 유가, 묵가, 도가, 법가의 귀신 담론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론에 앞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 연구 경향이 사상가들의 무신론 혹은 유신론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본론에서 그들이 ‘귀신’에 대해 어떻게해석하였는지, 학파 간에 어떠한 관념을 공유하였는지를 다루고자 함을 밝혔다. 먼저 유가에 서는 공자의 삶과 죽음을 일체로 보는 생사관과 덕치와 예를 중시하는 사상을 통해 귀신의존재에 대한 판단을 보류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규명하였다. 순자의 귀신관은 그의 천인분리(天人分離) 사상과 예치 사상을 통해 그가 귀신 제사를 긍정하되, 귀신을 인간과 무관한 존재로 인식했음을 확인하였다. 묵가의 귀신관은 묵자의 ‘천(天)’과 관련된 논의를 함께 살펴봄 으로써 인간이 ‘하늘’을 닮아야 한다는 목적을 이루는 과정에서 귀신이 매개로 작용했음을 확인하였다. 도가는 ‘도’에 따라 귀신의 개입 여부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순자와 마찬가지로 귀신을 신령스럽게 여기지 않으며 인간에 대한 영향을 차단하고자 했음을 확인하였다. 법가는 법치의 방해 요인이 되는 귀신을 비판하였지만, 귀신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 으며 ‘덕’의 요소도 중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증을 통해 결론적으로 그들의 귀신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달랐고, 또 어떠한 관념을 공유하고 있었는지 밝혔다. 그들은 단순히 문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고 해서 귀신의 존재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각자 귀신을 재해석하고 인간과 귀신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결국 ‘인간’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interpretation of Ghost-God(鬼-神)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changed through the discourse of Ghost-God(鬼-神) by Confucianism, Mohism, Taoism, Legalism. First,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trend focuses on proving the atheism or theism of thinkers. Next, I noted that as the paradigm of civilization at the time shifted, the interpretation of Ghost-God(鬼-神) by thinkers also changed, but they basically acknowledge that Ghost-God(鬼-神) exist. Accordingly, I examined how they interpreted Ghost-God(鬼-神) and what ideas they shared among schools. Regarding Confucianism, I identified the cause of Confucius's withholding judgment on the existence of Ghost-God(鬼-神), through his view of virtue, courtesy, life and death. Also, I examined Xunzi's view of Ghost-God(鬼-神) through his idea of separation from Tian(天) and Ren(人). He affirmed the practice of ancestral rites, but perceived Ghost-God(鬼-神) as irrelevant to humans. Mozi's view of Ghost-God(鬼-神) was examined through discussions related to Mozi's ‘Tian(天)', It was confirmed that Ghost-God(鬼-神) acted as a ‘medium’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purpose that humans should resemble the ‘Tian(天)’. Laozi and Zhuangzi saw that the ‘Tao(道)’ determined whether Ghost-God(鬼-神) intervene in humans. And like Xunzi, they did not regard Ghost-God(鬼-神) as mystical and tried to block their influence on humans. Hanfeizi criticized Ghost-God(鬼-神) that interfered with the rule of law, but did not deny the existence of Ghost-God(鬼-神) themselves. In conclusion, through these arguments, it was confirmed how their interpretation of Ghost-God(鬼-神) was different and what other ideas were shared. The thinkers of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did not deny the existence of Ghost-God(鬼-神). As the paradigm of civilization shifted, they reinterpreted Ghost-God(鬼-神) and re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host-God(鬼-神), suggesting the direction in which ‘humans’ will eventually move for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