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소설에 나타난 ‘춘천’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귀의성>과 <소양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uncheon’ in Sinsosoel(新小說) from a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focusing on and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2.06
29P 미리보기
신소설에 나타난 ‘춘천’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lt;귀의성&gt;과 &lt;소양정&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1권 / 2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금숙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신소설 <귀의성(鬼의聲)>과 <소양정(昭陽亭)>에 나타난 ‘춘천’의 형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두 소설에는 춘천이 문학적 공간으로서 비중 있게 그려진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춘천이라는 공간에 주목한 논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 속 소설적 공간으로서의 춘천이 실제 지리적 공간과 어떤 관계 양상을 보여주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춘천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쪽으로는 강과 호수가 관통하여 흐르고 있는 도시이다. 북한강, 소양강, 공지천 등이 합류하는 하류 지점에는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강의 수평적인 움직임과 산의 수직적인 경계가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복합적인 공간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춘천의 이러한 복합적인 지리적 특성은 <귀의성>과 <소양정>에 문학적 공간으로 형상화된 ‘춘천’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귀의성>과 <소양정>은 춘천이라는 공간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작품이면서 동시에 춘천에 대해 서로 다른 이미지를 부여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두 작품을 같이 볼 때 춘천이라는 공간이 지니는 문학적인 의미가 더 잘 드러난다.
    소설 속에서 춘천은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를 함께 지니고 있고, 상경과 회귀의 경유지이자 기착지, 출발점이자 도착점으로서 성격이 중첩되어 있는 곳으로서의 공간적 정체성을 갖는다. 또한 춘천은 전근대적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질서와 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공간이지만 근대적 관점에서 보면 하강의 깊이를 획득한, 존재론적 성찰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ages and meanings of ‘Chuncheon’ shown in <Guiuisung(鬼의聲)> and <Soyangjeong(昭陽亭)> in the literary-geographical perspective. In those two novels, Chuncheon is importantly described as a literary space. So far, however, there have been no discussions that pay attention to a space, Chuncheon shown in those works. Thus, this study considered what kind of relation would Chuncheon as a space in those two novel works show with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Chuncheon is a city that is surrounded by mountains on all sides, and a river and lake are passing through this city in its west side. There is a eroded basin at the downstream confluence of the Bukhangang River, the Soyanggang River, and the Gongjicheon Stream. The river's horizontal movements and the mountain's vertical boundary creates a complex spatial image by dividing the space. Chuncheon's complicated ge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this are closely connected to 'Chuncheon' that was embodied as the literary space in <Guiuisung> and <Soyangjeong>. The works <Guiuisung> and <Soyangjeong> are not only importantly highlighting the space, Chuncheon, but also reminding of different images of Chuncheon. Therefore, the literary meaning of Chuncheon as a space is revealed better when those two works are examined together.
    In novels, Chuncheon has the images of rise and fall at the same time, and also has the spatial identity as a place with the overlapped nature of stopover for going to Seoul and returning, departure, and destination. And Chuncheon is the space with the existing order and ideology as it is from the pre-modern viewpoint, but it is also the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ontologistic introspection that obtained the depth of the descent from the modern view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