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장(法藏)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의 유식 문헌 인용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Citations of Yogācāra Texts in Fazang(法藏)’s Dashengqixinlunyiji(大乘起信論義記))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10
25P 미리보기
법장(法藏)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의 유식 문헌 인용에 관한 소고(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36호 / 9 ~ 33페이지
    · 저자명 : 이숙영

    초록

    본고는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의 유식 문헌 인용 검토를 통하여 법장이 유식의 교리를 어떻게 『기신론』 해석에 적용하였는지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인용 경향을 분석한 결과, 법장은 『기신론』 본문을 풀이하며 유식 문헌 중 『섭론』, 『유가론』, 『중변론』만을 활용하였으며 삼성설의 인용이 주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가론』을 근거로 하여 말나식과의 직접적 배대를 피한 것 또한 확인되어 『법장소』의 삼성설 활용과 말나식에 관한 『유가론』 인용으로 나누어 검토를 진행하였다.
    먼저 삼성설은 여래장 중심의 해석을 위해 인용되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섭론』의 인용이 빈번하나 원성실성의 정의는 『유가론』을 취하여 진여로 보았다고 추측했는데 이는 『섭론』이 의타기성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유가론』의 원성실성을 인용해 진여를 강조하여 『기신론』을 해석하기 위해 변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 『유가론』에 근거한 말나식 배제에 관한 검토를 통해서는 법장이 말나식의 인식작용을 유식의 삼분(三分)으로 대체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삼세의 업상을 자체분, 전상을 견분, 현상을 상분으로 해석한 것이다. 즉, 견분은 인식의 주체, 상분은 인식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법장은 이들로 인식 활동을 설명한 것이다. 『기신론』의 심생멸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자아 인식의 과정을 설명해야만 한다. 그러나 법장은 말나식의 역할이 직접 드러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견분(見分)과 상분(相 分)으로 인식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법장은 『기신론』을 통하여 여래장사상의 우위를 확립하기 위해서 유식학의 성과인 8식설의 인용을 최소한으로 하고 『기신론』을 해석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법장은 이에 대한 해결을 삼성설과 삼분에서 찾은 것으로 짐작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fer how Fazang applied the doctrines of Yogācāra to his interpreta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大乘起信論) by examining the citations of the Yogācāra texts in his commentary, the Dashengqixinlunyiji(大乘起信論義記).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itation trends, it was found that in his com 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Fazang primarily utilized only three Yogācāra texts: the Mahāyānasaṃgraha(攝大乘論), the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and the Madhyantavibhagabhasya(中邊 分別論),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doctrine of the Trisvabhāva(三性). Converse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Fazang avoided direct mention of the manas-vijñāna, which is based on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Therefor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 examination of the use of the Trisvabhāva in the Dashengqixinlunyiji and an analysis of the citations concerning manas-vijñāna from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In the first part, it is considered that the doctrine of the Trisvabhāva was cited to support an interpretation centered on the Tathāgatagarbha. Although the Mahāyānasaṃgraha is frequently cited, it is presumed that Fazang ad opted the Yogācārabhūmi-śāstra’s definition of the pariniṣpanna-svabhāva as the tathatā. This suggests that Fazang modified the interpretation to focus on the tathatā since the Mahāyānasaṃgraha emphasizes paratantra svabhāva.
    In the second part of the examination, based on the Yogācārabhūmi śāstra regarding the exclusion of manas-vijñāna, it can be seen that Fazang replaced the cognitive function of manas-vijñāna with the three aspects theory of cognition(三分) of Yogācāra.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of the Tathāgatagarbha doctrine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Fazang likely faced the challenge of interpreting the text while minimizing the use of the Yogācāra’s eight consciousnesses theory. It is inferred that he sought a solution to this challenge through foregrounding the Trisvabhāva and the Three aspects theory of cogn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