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緯의 焚藁와 「焚餘錄」시의 특징 (Shin Wi(申緯)’s Burning Writings and Aspect of the Poem 「Boonyeorok」, the Left over from the Burn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4.02
34P 미리보기
申緯의 焚藁와 「焚餘錄」시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8권 / 35 ~ 68페이지
    · 저자명 : 신일권

    초록

    申緯(1769~1847)는 少時에 스승 李匡呂(1720~1783)를 모시고 盛唐詩를 공부하다가 陳奏兼奏請使의 書狀官으로 연경에 가서 翁方綱(1733~1818)을 만나고 돌아와 前作들을 모두 태워버리고 ‘由蘇入杜’를 學詩의 방향으로 내걸었다고 하였다.
    본고는 신위의 焚藁 시점이 1812년 옹방강을 만나고 돌아와 분고를 한 것이 아니라 丙午년(1786) 여름 신위의 나이 18세에 이루어진 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분고 이유는 정두경의 漢魏盛唐시의 복고주의와 의고주의의 모의풍조를 그만두겠다는 선언으로 분고를 한 것임과, 신위의 분고는 金昌協의 영향과 조선후기 반의고주의의 흐름의 연장선에서 일어난 일임을 밝혔다.
    신위의 「焚餘錄(1787~1808)」은 분고 이후에서 현전 『警修堂全藁』 이전까지의 작품이다. 「분여록」 내용과 「분여록」 시기의 교유는 대부분 이광여의 제자들인 宋喜鼎․徐榮輔․徐耕輔․徐淇修․成載淳․朴蓍壽 등과 산수자연을 유람하고 산수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시들로 이루어져 있다.
    「분여록」에 실린 시의 가장 큰 특징은 산수자연을 유람하며 산수풍경과 일상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허위나 과장 없이 ‘平易’하고 ‘眞實’하게 표현하였다. 따라서 「분여록」 시의 미적 특질은 ‘實境’에 걸 맞는 풍격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Shin Wi(申緯: 1769~1847) has been known to study the sacred Tang poems under the master Lee Gwang Ryeo(李匡呂: 1720~1783) in his early years and burned his writings after meeting Weng Fanggang(翁方綱: 1733~1818) in Beijing as a clerk of Jinjugyeumjucheongsa(陳奏兼奏請使) and put up the Yusoipdu(由蘇入杜) as a banner in learning poetry.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time when Shin Wi burned his writings was not after he met Weng Fanggang in 1812 but in his age of 18 in the summer of the Year of the Horse(1786). The study identified that Shin Wi burned his writings as a declaration to go against the imitative trend of revivalism and archaismof Han-Wei sacred Tang poems(漢魏盛唐詩) by Jeong Du Gyeong. It also revealed that the burning was influenced by Kim Chang Hyeop as an extension of the trend of antiarcha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in Wi’s 「Boonyeorok」(焚餘錄: 1787~1808) is the compilation of his writings from the burning to the Gyeongsudangjeongo(警修堂全藁). The book is composed of the poems that vividly described the natural landscapes as he went on a trip to enjoy the landscape with companions most of whom were the pupils of Lee Gwang Ryeo, including Song Hee Jung(宋喜鼎), Seo Yeong Bo(徐榮輔), Seo Gyeong Bo(徐耕輔), Seo Ki Soo(徐淇修), Seong Jae Soon(成載淳) and Park Si Soo(朴蓍壽).
    The biggest feature of the poems in 「Boonyeorok」 is the realistic but plain description of the natural landscape and daily experiences with out pretension or exaggeration. Therefore, the aesthetic property of the poems in the book is the style that befits the real views of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