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의 편찬 과정과그 필사(筆寫) 저본(底本) (On the Compilation and the Scripts of Shinowijangbonjip (申五衛將本集))

8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4
85P 미리보기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의 편찬 과정과그 필사(筆寫) 저본(底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51호 / 47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철

    초록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 편찬의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전6책)은 국문학계에서 편찬된 최초의 신재효 판소리문학전집이자 신재효 연구의 초석이지만 그 편찬 과정과 필사 저본(底本)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신재효 사설의 필사 정보를 담고 있는 『가람일기』를 비롯한 자료를 기반으로 필사와 편찬 과정을 재구하고,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신재효 사설 전승본들, 즉 읍내본, 성두본, 와촌본, 청계본 등과 가람본을 비교하여 그 저본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람은 1932년 말엽에 청계본 <춘향가(동창)>(1908), <춘향가(남창)>(1907)을 필사하여 제1책을, 1933년 초에 청계본 <심청가>(1906)와 <적벽가>(1926)를 필사하여 제2책을, 역시 1933년 초에 청계본 <횡부가>(1915)와 <오섬가>(1911)를 필사하여 제3책을 구성하였다. 1935년 초에 조운(曺雲)으로부터 김종길 소장본 <토끼타령>(1889년에 필사된 창본)의 사본을 받고, 1938년 전반기에는 보성전문학교 소장본 <토별가>(정한규본, 1917)을 직접 필사하여 제5책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1949년 2월에 읍내본 <박타령>(1904?)을 필사하여 제6책을 구성하였다. 제4책의 시가(詩歌)들의 필사 저본은 신기업(申基業)본과는 다른 읍내본으로 추정된다. 제4책의 필사 시기는 미상인데, 전체 6책을 필사 순서대로 배열한 것으로 본다면 제5책보다 먼저 필사가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1948년 말에 제4책이 보충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또 <구구가>처럼 제4책의 표지에 제목이 제시되지 않은 작품도 있으므로 1950년대에도 보충 필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가람은 본문 필사 후에 주석 작업을 하여 본문 난외에 기록하였고, 또 다른 전승본과의 대비 작업을 하여 본문 옆에 병기하였다. 이 대비 작업은 전체 본문 필사가 완료되기 전인 1948년부터 시작되었고, 이를 위해 가람본의 필사 저본과 다른 전승본들을 차람(借覽)하기 위해 1956년까지 고창을 거듭 방문하였다. 그러나 1957년 후반에 건강이 좋지 않게 되면서 대비 작업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이상에서 가람은 『신오위장본집』을 약 4반세기에 걸쳐서 편찬하였고, 동리의 판소리 사설과 시가의 사설은 거의 다 갖추었지만, 주석과 대비 작업은 완료하지 못한 것이다.

    영어초록

    For the first time, Byoung-Gee Lee (이병기, 1891~1968) compiled Shinowijangbonjip (申五衛將本集) (six volumes), the complete pansori works of Jae-Hyo Shin (신재효, 1812~1884), which have been a corner-stone in Pansori Studies. Lee compiled the hand-written copies of Shin’s works over a long time, bu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scripts of the copi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In this study, I used Garam-ilgi, Lee’s Diary,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compared Lee’s copies with other handed-down copies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scripts.
    Volume 1 of Shinowijangbonjip consists of Nam-chang Chunhyang-ga (남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male singer, and Dong-chang Chunhyang-ga (동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child singer. These were transcribed in late 1932, and their scripts were Chunhyang-ga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청계본, 淸溪本), which were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Park’s family of the Cheonggye village in the Gochang county.
    Volume 2 consists of Shimcheong-ga (and Jeokbyouk-ga).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ir scripts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Volume 3 consists of Hwengbu-ga (횡부가), Osem-ga (오섬가), and Chesan-ga (치산가).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 scripts of the former two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but the latter’s script is uncertain.
    Volume 4 consists of many songs such as Heodu-ga (허두가), Gwangdae-ga (광대가), and Doriwha-ga (도리화가). Both the transcription time and the scripts are uncertain.
    Volume 5 consists of Tokki-taryoung (토끼타령) and Twebyoul-ga (퇴별가). Lee acquired the former from poet Wun Cho in February 1935, and its script was the copy owned by pansori singer Jong-gil Kim. Lee transcribed the latter in the first half of 1938, and its script was the copy that had been transcribed by Han-gyu Jeong and had become a collection of Boseong College.
    Bak-taryoung compiled in Volume 6 was transcribed in February 1949, and its script was the copy known as Eupnae-bon (읍내본), which was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Jae-hyo Shin’s descendants in the town of the Gochang county.
    In addition to transcription, Lee annotated the copied texts and compared them with other texts handed down to the Gochang area, but these works were not finished due to his ill-health in 195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