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維翰의 자술 문학에 나타난 자기 형상과 명명 방식 (Self-Image and Self-Naming in Shin, Yu-Han (申維翰)’s Autobiograph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申維翰의 자술 문학에 나타난 자기 형상과 명명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2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하지영

    초록

    신유한의 자술 문학은 모순된 정체성을 가진 조선 후기 지식인이 자신을 돌아보고위로하며, 흔들리는 자신을 견고하게 잡아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의 자술 문학, 술회시에서는 “객”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기대와 좌절 속에서 안에서도 밖에서도 안주하지 못하고 길 위에 선 신유한의 초상을 보여준다.
    신유한은 “龍門”, “景雲” 등으로 자신을 새로이 명명하면서 흔들리는 내면을 다잡고삶과 문학적 지향을 확인해 나갔다. 독특한 것은 신유한의 이 명명이 司馬遷과 崔致遠 의 삶과 문학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유한의 자술 문학은 점차 구체성, 현장성이 확보되지만 여전히 외부인에 자신의 형상을 투사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이는 이후 沈魯崇, 金鑢 등의 자술 문학과의 차이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문학론에서 확인된바, 眞, 我로 향한 시선을 내장하고는 있었지만 여전히 전범을 버리지 못한 그의태도가, 삶을 대하는 태도에서 동일하게 발견된다.
    그럼에도 신유한의 자기 명명은 기존의 사회적, 문학적 관념의 틀로써는 자신, 문학을 설명할 수 없다는 진지한 고민을 보여준다. 그의 명명은 주변의 비난을 초래하기도하였는데, 이는 그가 인식하는 자아, 지향이 사회적 인식과 충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용문”, “경운”이라는 명명은 “객”으로서의 자신의 모습에서 벗어나 주체로서 자신을정립시키려는 신유한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영어초록

    Shin Yu-han’s autobiography demonstrates how an intellectual with paradoxical ident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looks back on, consoles and holds together himself.
    In his autobiographical poems, the image of “wanderer” appears repeatedly, which portrays Shin as someone who cannot settle inside or outside amid expectations and frustration and stands on the road.
    Shin newly named himself as “Yongmun (龍門)” or “Gyeong Un (景雲),” pulled his unsteady inner mind together, and reaffirmed his orientation towards life and literature.
    It is worth noting that Shin’s self-naming is based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Sima Qian (司馬遷) and Choe Chi-won (崔致遠). Shin’s autobiography gradually ensures specificity and presence, but its limitation is that it still projects his image to outsiders, which can be described as his difference from the later autobiography of Sim No-sung (沈魯崇) or Kim Ryeo (金鑢). As demonstrated in literature theory, his attitude that he cannot give up the norm while he still has a perspective towards authenticity (眞) and self (我) is observed in the attitude in which he treats his life.
    Nevertheless, Shin’s self-naming demonstrates his serious concern that his self and literature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social and literary framework. His self-naming invited criticism from those around him, which implies that the self and orientation he perceives conflicts with social perception. Naming himself as “Yongmun (龍門)” or “Gyeong Un (景雲)” reflects Shin’s commitment that he tries to move away from identifying himself as the “other” and establish himself as the ag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