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治本 「金鰲新話」 비평의 특징과 의의 (A study on 「Kumoshinhwa(金鰲新話)」 published at Meiji(明治))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2.08
19P 미리보기
明治本 「金鰲新話」 비평의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2호 / 59 ~ 77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미

    초록

    본고는 1884년 9월 5일 도쿄에서 간행된 「金鰲新話」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간행의 경위와 비평의 양상 및특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메이지본 「金鰲新話」는 大塚彦太郞 집에 200여 년간 소장되었던 家藏本에 비평과서발, 주석을 함께 수록하여 간행한 것이다.
    메이지본 「金鰲新話」에는 요다 하쿠센(依田百川)의 서문과 李樹廷, 가모 시게아키(蒲生重章), 조 바이가이(長梅外), 오노 고잔(小野湖山)의 발문이 있으며 미시마 주수(三島中洲), 小野湖山, 長梅外, 李樹廷, 李景弼의비평과 주석이 있다.
    상기 메이지의 비평가들은 「翦燈新話」, 「聊齋志異」, 「虞初新志」와의 비교를 통해 「금오신화」의 독창성을인정하였다. 또한 메이지 당시의 관점에서 「금오신화」 내의 人情에 관해 언급하며 욕망을 긍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架空’이라는 장치를 통해 逼眞을 구현해 내는 방식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금오신화」의 한시에 대해서는, 시어의 활용과 시의 완성도에 관심을 가졌으나 주소체 문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금오신화」를 간행한 이유는 湮滅을 막기 위해서였으나 조·일간의 善隣의 증진도 간행 목적 가운데 하나였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의 체결 후 도일한 1882년 수신사의 일원이었던 이수정이 일본의 지식인들과 함께비평을 가하였으며 1884년에 이 책이 출판되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그리고 아시아의 정치적인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조일관계의 형성 속에서 볼 때 「금오신화」의 간행은 조선에 대한 ‘학지’의 맥락으로 읽힐 수가 있을 것이다. 「금오신화」에 대한 메이지 비평가들의 평가는 192·30년대의 연구자들에게도 이어졌으나, 오히려 메이지본을 저본으로 한국에서 간행된 영인본에는 이들의 비평과 주석, 서발문이 모두 삭제되어져 버렸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kumoshinhwa(金鰲新話)」 which was written in Tokyo in Sep. 5th, 1884 is researched about the aspect and the charateristics of the details of the plubicatrion and comment.
    The 「kumoshinhwa(金鰲新話)」 was published from an household book which had possessed for about 200 years by Otsuka(大塚彦太郞) together with comments, prefaces, epilogs and annotation.
    「kumoshinhwa(金鰲新話)」 published at Meiji(明治) is consisted of the prefaces written by Yoda (依田百川), the epilogs written by Lee sujung(李樹廷), Kamo(蒲生重章), Cho(長梅外), and Ono(小野湖山), and the comments and the annotations written by Mishima(三島中洲), Ono, Cho, Lee sujung,and Lee kyongpeel(李景弼).
    The critics recognized 「kumoshinhwa(金鰲新話)」’s originality, and pointed out its advantages through the comparision with 「Jeondungshinhwa(翦燈新話)」, 「Yojegjii(聊齋志異)」, and 「Uchosinnji (虞初新志)」. Also, in the standpoint of Meiji era, in 「kumoshinhwa(金鰲新話)」 they refered the kindheartness, and conducted to agree to the desire. Also, through the device called pseudomorph, they highly estimated to realize the actual fact. In a mean while, for Chinese poetry in 「kumoshinhwa(金鰲新話)」, they was concerned about the usage of the poetry word and completeness of the poet, but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style of annotation.
    The outward reason of publishing 「kumoshinhwa(金鰲新話)」 was to prevent an extinction, but another reason was to promot the neighborly friend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After the conclusion of a treaty of Kanghwado in 1876, Lee sujung(李樹廷) who was a member of diplomatic mission in 1882 criticized 「kumoshinhwa(金鰲新話)」 with the educated class in Japan,and this book was published in 1884. In the point of the change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 and the new formation of Chosun-Japan relation, the publication of 「kumoshinhwa(金鰲新話)」 could be treated as the veins of the leaning knowledge for Chosun. Their estimations of 「kumoshinhwa (金鰲新話)」 were held on by researchers in the period of 1920 and 1930, but in the photographic edition which was published based on the text published at Meiji(明治) in Korea, all of their prefaces, and comments and annotations were mod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