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지상식 건물지의 편년과 변천 -경기남부지역 주거지를 중심으로- (Study of the Chronology and Changes of Above Ground Dwelling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on Folk House Remains in South Gyeonggi Provin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8.11
43P 미리보기
조선시대 지상식 건물지의 편년과 변천 -경기남부지역 주거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3권 / 235 ~ 277페이지
    · 저자명 : 김용호

    초록

    본고에서는 경기남부지역의 민가유적 중 지상식 건물지 현황에 대해 정리 한 후, 시기변화가 간취되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도출되는 특징을 토대로 각 형식 간 편년을 시도하였고 취락유형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형식은 공간의 쓰임새에 따라 2가지로 대별되며 구들열의 부재, 평면형태 등 5가지로 세분된다. 단계설정은 2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조선시대 14C후반∼16C후반에 걸쳐 조성된 주거지(전기)로, 구릉의 정상부에서 하단부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지상식 건물지가 수혈식 주거지와 함께 공존하는데 유구의 조망권, 주거를 조성함에 드는 노동력, 출토유물의 질적 차이가 반영되는 등 신분 또는 재력, 나이에서 차등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지 구조는 구들이 확인되는 생활공간과 연소부인 아궁이만 노출되는 정도이며 구들 내부에는 원형의 개자리와 단연도가 일반적이다. 구들을 설치함에 미숙함이 드러나 석재나 규모를 적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2단계는 조선시대 16C후반∼19C이후에 걸쳐 조성된 주거지(중․후기)로, 입지는 1단계와 유사하나 별도의 토목공사나 공간을 점유하여 한층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해당시기의 지상식 건물지는 구들이 매우 정교하게 설치되며 1단계에서 볼 수 없었던 횡방향의 개자리와 다연도 구조가 등장한다. 또한 주거지의 면적은 넓어짐에 따라 주생활공간 이외에 별도의 공간이 다양하게 확인된다. 취락의 유형은 총 3가지로 구분되는데 수혈주거지+A형식, B형식 공존, B3형식 단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의 취락은 주거지의 구조적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이해되고 전란, 기후(저온화), 신분제의 붕괴에 따라 시기적으로 선호하는 취락유형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e above-ground dwelling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has already been reported in a large number of remains since the 2000s, but since there are fewer individuals, and an examiner or reporter cannot clearly recognize the structure of the dwelling. Therefore, the author summarized the status of remains in the South Gyeonggi Province in this paper and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by which changes of the times are perce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rawn, this study attempted to chronicle each type and set up stages based on this. In addition, lastl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ttlement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xamin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bove-ground dwelling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target place of research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pace, which is sub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member of heating under hypocaust and plane form.
    Type A is a type integrated with the space, where no spatial division separated by the slope or column is found in the form of the longitudinal section including the plane form of the dwelling. The difference between Type A1 and Type A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mber of heating under hypocaust, Type A1 used stone while Type A2 used a hard pan. It is judged that the main period of Type A began to appear in the late 14th century and continued to exist by the late 16th century according to the excavated relics or the result of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Type B is a type, separated from the space, and the division between main living space and secondary living space is clear in the plane form and longitudinal section form of dwelling. Type B is divided according to the plane form. It has various forms, e.g., Type B1 takes ‘日’-shaped planar form; Type B2 takes ‘呂’-shaped planar form; and Type B3 is divided by ‘room.’ The main period of Type B began to appear from the late 16th century and continued till the modern time since the 19th Century.
    The stage is divided into 2 stages. Stage 1 is the early period, dwelling established the late 14th century through the late 16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venly distributed from higher part to lower part of the hills. During this period, the above-ground dwelling exists with pit dwelling, and since the viewing area of the remains, the labor force put in to set up the dwelling, and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the relics in the dwelling were reflected, it is judg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ank, wealth or age. It is judged that, for the structure of the dwelling, the living space in which a hypocaust is seen and the furnace, which is the combustion section are exposed, and in the hypocaust, there are mostly circular cavity and single flue. The inexperience in the installation of the hypocaust would be supplemented with stone or the method of reducing the scale. The type coming under Stage 1 is Type A, and the representative relics include Namsa (Agok), Yongin and Namyang-dong, Hwaseong.
    Stage 2 is the middle and late period, dwelling the late 16th Century and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location is similar to that in Stage 1 but shows more advancement by separate public works or occupation of space. In above-ground dwelling during the period, the hypocaust is installed very exquisitely, and transverse cavity and multiple flue structures appear, which could not be seen in Stage 1. In addition, as the area of the dwelling becomes wider, various separate spaces are found, in addition to the main living space. The type coming under Stage 2 is Type B, and the representative relics include Tap-dong and Jigok-dong, Osan and Gorim-dong, Yongin.
    The type of the settlemen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i.e., Pit dwelling+Type A, Type B coexistence and Type B3 alone. These settlements are understood as the results of structural changes broadly according to changes in cooking and heating equipment, and in addition, according to war, climate (temperature lowering) and the collapse of the caste system, types of settlement preferred in each period were ident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