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안과 우울은 다른가? : Zung 자기보고식 불안 및 우울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Are Anxiety and Depression Distinct? : Exploratory Factor Analysisof Zung’s Self-Rating Anxiety and Depression Scale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3.02
7P 미리보기
불안과 우울은 다른가? : Zung 자기보고식 불안 및 우울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0권 / 1호 / 21 ~ 27페이지
    · 저자명 : 정정엽, 김대호

    초록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은 불안과 우울이다.1) 불안은 감정, 정서 또는 기분으로 표현되는 정신적인 현상이며 불안장애뿐만 아니라 다른 행동장애에도 나타난다.2-4) 반면 우울은 슬픔, 주관적인 불행, 무기력감 및 실망 등의 기분의 저하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식욕 감소, 성욕 감소 및 체중 감소 등과 같은 신체 증상을 포함한다.5) 더욱이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는 매우 흔한 정신 질환이다. 미국에서 실시된 대규모의 조사에 의하면 정신 질환 중 1위와 2위를 차지할 만큼 유병률이 높다.6)현재 정신장애의 진단 분류 체계인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이하 DSM-IV), 10th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이하 ICD) 그리고 기존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렇게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별개로 취급하는 범주적 관점을 따른다. 이 둘이 질적으로 다른 질환이며 위험인자, 자연 경과, 정신병리적 특징도 다르다고 이해한다.7)8)하지만 임상적으로 이 두 가지 증상은 중첩되는 부분도 있고, 공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구분하기가 힘든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두 장애가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핵심 병적 과정을공유하며 공통적인 취약성과 위험인자를 가진다는 견해도 있다.7)8) 이러한 차원적 접근 방식은 DSM-IV의 불안장애나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는 못 미치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우울 및불안증상을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9) 다시 말해서, DSMIV와같은 기준에 근거하여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별개로 진단하고 이 두 장애의 공존 여부를 다루는 기존의 연구들과 다르게, 차원적인 접근으로 두 증상의 공존하는 특징이나 변별되는 특징을 알아 보고 증상의 본질을 탐구하고 조사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10)11)차원적인 접근을 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은 하나의차원에 분포한다는 것이다. 이 차원은 한 쪽 끝은 순수한 불안증상이, 다른 쪽 끝은 순수한 우울증상이 차지하고 있다는것이다. 이 차원의 중간 지점이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이 공존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12)13) 이 가설은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이 나타날 때 유사한 신경내분비적 조절 이상을 보인다는 점과 불안증상이나 우울증상의 자가보고식 검사 척도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점으로 설명되고 있다.14-17)위의 가설과 또 다른 하나는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은 서로다른 요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삼분 모델(Tripartite model)이 있다(Fig. 1).18) 이 모델의 중심 개념은긍정적 정동(Positive Affect, 이하 PA), 부정적 정동(Negative Affect, 이하 NA), 생리적 과각성(Physiological Hyperarousal,이하 PH)이다. 높은 PA는 기쁨, 즐거움, 의욕 충만 등을 나타내고, 반면에 낮은 PA는 무쾌감, 무기력, 무의욕 등을 나타낸다. 우울증상은 주로 낮은 PA와 관련이 있다. PH는 주로 불안증상과 관련이 있다. 높은 NA는 공포, 불안, 슬픔, 짜증, 외로움 등을 나타내는데 이는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이 공유하는증상이다.17) 이렇게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은 서로 다른 요인과공통된 요인을 동시에 가진다는 것이 또 하나의 가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 연구는 기존의 우울이나 불안을 측정하는척도들이 주로 NA를 측정하기 때문에 불안과 우울을 타당하게 평가하지 못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19)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차원적으로 접근 한 사전 연구를 살펴보면, 다양한 정신과 질환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BDI)와 벡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의문항들을 합쳐 요인구조를 분석한 연구20)에서는 불안증상과우울증상을 구분하는 각각의 다른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반면, 정신과 환자들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BAI와 BDI-IA의문항들을 합쳐 요인구조를 분석한 Clark 등21)의 연구에서는 부정적 요인이라는 하나의 큰 공통 요인과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각각의 다른 요인들이 추출 되었다. 또한840명의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BAI와 BDI-II의 문항들을 합쳐 요인구조를 분석한 Steer 등22)의 연구에서도 하나의큰 공통 요인과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두 개의요인이 추출 되었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 본 불안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연구 결과들은 서로 일치 하지 않는다. 즉, 불안과 우울이 독립된 개념인지, 아니면 한 가지의 일반적 불편감(general distress)를 나타내는 것인지 혹은 공통요인과 불안, 우울의 고유증상으로 구성된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BDI와 BAI 외에 우울과 불안을 측정하는 척도에 대한 연구가 없고, 영어권 외의 연구가 없는 점에 착안하여,본 연구는 대표적인 자가보고식 불안 척도인 Zung의 자기보고식 불안 척도(Self-Rating Anxiety Scale, 이하 SAS)와 자기보고식 우울 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이하 SDS),두 척도를 결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불안 및 우울증상들의 타당성 있는 요인 구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ZZ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Some believe that these two symptoms are basically the same construct, that is, both measure what is called ‘general distress’ or two phenomena are distinct experiences which often coexist. To further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e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a combin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ZZData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were gathered from 401 newly visiting psychiatric outpati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We performed a component analysis on the 40 items from two scales.
    ResultsZZ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seven factor structure explaining 56% of total variance. Overall finding indicat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consisted of four symptom domains : mainly depressive symptoms, mainly anxiety symptoms, common somatic symptoms, and others.
    ConclusionsZZ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 of self-reporte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re more complex than previously thought, i.e., either one or two factor theories. These findings also support that anxiety and depression can be better modeled by dimensional approach. Clinicians may be alert for the fact that both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measure distinct and also common aspects. Further researches on other scales especially, interview based instrument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