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圓嶠 李匡師의 중화의식과 역사인식 一考 -「東國樂府」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Notion on History and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of Yi Gwangs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8.09
32P 미리보기
圓嶠 李匡師의 중화의식과 역사인식 一考 -「東國樂府」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물사연구 / 10호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허태용

    초록

    본 논문은 李匡師의 역사인식을 「東國樂府」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이광사는 18세기 조선 사상계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 중의 하나로서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광사를 주목한 연구들은 대개의 경우 이광사의 사변적인 철학, 아니면 한시ㆍ서예와 같은 문예적 측면에 보다 집중하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광사의 「동국악부」에 대해서도 일정한 연구가 축적되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주체적이고 민족적인 요소를 강조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이광사에게서 드러나는 중화의식은 그 의미가 제한적으로 언급되거나 극복되어야 할 한계로서 지적되는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동국악부」에 드러나는 이광사의 역사인식을 조선후기 중화의식의 전개 속에서 새롭게 파악해 보았다. 17세기 중엽 명청교체 이래 조선의 중화의식은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전개하였는데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들의 당색과 학파에 따라 다양한 학문적 모색을 하면서도 조선을 ‘중화의 계승자’로 인식하는 중화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런 중화의식은 고구려를 새롭게 평가하고 기억하는 역사인식으로도 광범위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이광사에게서도 이런 중화의식이 바로 「동국악부」에서, 특히 고구려와 관련된 역사를 읊은 ‘朝天石’, ‘薩水捷’, ‘城上拜’ 등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것으로 보인다. ‘조천석’에서는 고구려의 문화를 설명하면서 “순박하고 사납지 않은 것이 마치 伏羲나 黃帝 같았다.”라고 하면서 고구려의 풍속에 대해 유교적 가치를 부여하였으며, ‘살수첩’과 ‘성상배’에서는 유교적 가치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있는 중국의 황제를 온전한 유교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고구려의 장수가 특별히 경계하고 깨우치는 것으로서 묘사하였다. 이는 황제의 정벌에 대한 陪臣의 저항이라는 유교적 명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는데, 특히 당태종의 고구려 정벌이 백성을 피폐하게 짓밟아 버린, 낭비로 가득한 잘못된 전쟁이라는 평가를 내리기 위해 『孟子』에서 맹자가 양혜왕을 비난할 때 사용한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밝은 덕을 돌이켜서 중국을 다스려 사방에 도달하게 하라는 유교적 훈계를 내리고 있었다. 이런 해석은 아들 이영익에게서도 동일하게 관철되었는데 결국 이광사에게 있어서 을지문덕과 안시성주는 고구려의 자주성을 지킨 민족의 영웅으로서가 아니라 陪臣으로서 황제의 잘못을 깨우쳐준 유교적 가치의 상징적 존재로서 자리매김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이광사를 비롯한 조선후기의 지배층들이 ‘중화의 유일한 계승자’로 자처한 조선의 자부심을 강조하는 현실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Yi Gwangsa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to reveal various aspects of Joseon dynasty in 18th Century. He was a member of 'Ganghwa School' that had formed some kind of unique thought around Jeong Jedu in 18th century. Meanwhile, Yi Gwangsa held traditional notion on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in common with other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This point is revealed in his chinese poetry 'Donggukakbu' which described Korean history from Dan-gun to loyal retainer of Goryeo dynasty.
    In Donggukakbu, he emphasized on the victory of Goguryeo against Sui or Tang Chinese forces not because he had some kind of proto-nationalism against Chinese centered world order, but because he regarded Goguryeo as a protector of confucian virtue that made Sui or Tang realize her misconduct to give pain on people or her improper invasion to neighboring small state which had no any confucian wrong. Namely, he interpreted Goguryeo's defeating to Chinese force in terms of confucian value.
    Especially, he thought Tang Taizong's invasion to Goguryeo was serious wrong movement, because Taizong gave great pain on his people to carry out war against Goguryeo. He used a special term that had been used by Mencius to blame a King Yanghye who had given great pain on people to carry out war. In other word, he metaphorically regarded Tang Taizong as King Yanghye who had been blamed by Mencius.
    In sum, many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have regarded Yi Gwangsa as one of progressive intellectual different from conservative neo-confucianists. But Yi Gwangsa also held traditional notion on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in common with other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and he interpreted korean history in terms of traditional confucian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물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