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부 중학생의 체중에 따른 체중인식, 체중조절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Weight-related Perceptions, Practices and Eat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ssociations with BMI)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8.02
11P 미리보기
일부 중학생의 체중에 따른 체중인식, 체중조절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1호 / 13 ~ 23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민혜선

    초록

    본 연구는 대전시 소재의 중학교 남·여 학생 47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신체계측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BMI를기준으로 남·여 중학생들을 각각 저체중, 정상체중 및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체중에 따른 체중인식, 이상체중, 체중조절실태 및 식습관과 식행동, 활동정도를 비교함으로써 BMI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올바른 체중인식 형성에 필요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조사대상 남학생의 체중분포는 저체중군 14.0%, 정상체중군 69.7%, 과체중군 16.3%였고, 여학생의 체중분포는 저체중군 6.8%, 정상체중군 79.0%, 과체중군 14.2%로 남학생의 저체중과 과체중 비율이 각각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자신이 보고한 보고체위와 실측체위를 체중군별로 비교한 결과 남·여 모두 BMI가 높은 체중군일수록 보고치로 계산한 BMI가 실측치로 계산한 BMI 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경향이었다.
    3. 남학생들은 모든 체중군에서 평균 73.0%가 정상체중을 이상체중으로 원하고 있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모든 체중군에서 80%가 저체중, 20%만이 정상체중을 이상적인 체중으로 원하고 있었다. 실측체중과 희망체중의 차이는 남· 여 모두 BMI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01).
    4. 자신의 체중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저체중군과 과체중군은 대체로 자신의 체중을 올바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상체중군은 약 44% 만이 자신의 체중을 표준체중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약 ⅓이 자신의 체중을 실제보다 과다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체중을 과다하게 인식하는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배 이상 높았다.
    5. 자신의 체중에 대한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대체로 높은 경향이었다. 여학생들의 체중만족도는 과체중군의 95.2%, 정상체중군의 56.2%가 불만족이었으며, 남·여모두 저체중군의 체중만족도가 다른 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의 ⅔가 체중조절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군의 95.5%, 정상체중군의 85.8%, 저체중군의70.0%가 많은 또는 약간의 관심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여 여학생들은 체중조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체중조절에관심을 가진 시기로는 남학생의 89.4%, 여학생의 80.1%가중학생 시기라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학생 시기에 체중조절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체중이 높을수록 이른 시기에 체중조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경향을 나타내었다.
    7.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여학생의 44.5%, 남학생의 41.1%가 과거 경험하였거나 현재 진행중이며, 여학생의 38.9%, 남학생의 29.4%가 ‘앞으로 체중조절의 계획이 있다’고 응답하여 많은 남·여 중학생들이 체중조절의경험이 있거나 앞으로 체중조절을 계획하고 있었다.
    8. 체중조절의 방향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군의 77.8%는 증량을 원하고 있었으나 정상체중군의 67.4% 와 과체중군 100%가 감량을 원하고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전체 여학생의 92.3%가 감량을 원하고 있었으며, 체중군별로는 저체중군의 50.0%, 정상체중군의 93.8% 및 과체중군의 100%가 감량을 원하고 있었다.
    9. 체중조절의 이유로는 남학생의 47.4%가 ‘건강을 위하여’, 30.9%가 ‘날씬한 외모를 갖고 싶어서’로 응답하여 외모보다는 건강을 위하여 체중을 조절하고 싶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여학생은 73.9%가 ‘날씬한 외모를 갖고 싶어서’, 14.5%가 ‘건강을 위하여’로 응답하여 건강보다는 날씬한 외모가 체중조절의 주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학생들은 운동량을 늘려서 체중을 감량하는 방법을 선호한 반면, 여학생들은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체중감량 방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TV시청 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길었으며 과체중 여학생의 TV시청 시간이 저체중 또는 정상체중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길었다(p < 0.001). 긴 TV 시청시간으로인해 비활동 시간이 길어진 것도 높은 BMI와 관련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11. 과식유발행동 점수는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군,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높았으므로(p < 0.05) BMI가 높을수록 과식유발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체중군의 간식섭취빈도가 정상체중군이나 과체중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의 간식섭취빈도가 낮게 조사된 것은 실제 간식섭취빈도 보다 다소 낮게 보고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남·여 중학생들의 체중인식, 이상체중, 체중조절관련 행위에서 성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여학생들의 저체중 선호도가 매우 높았으며 자신의 체중을실제보다 과다하게 인식하여 식행동 및 체중조절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통해서 청소년들이 정확한 체중인식을 갖도록 하며 건강체중 유지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하는 것이 청소년들의 좋은 식습관 형성과 식행동에 도움이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eight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various weight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desired weight, weight perception, weight-related practice, physical activity, and overeating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73 middle school students (178 boys and 295 girls) in Daejeon. Boys and gir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espectively; (1) underweight (BMI < 5th percentile) (2) normal weight (5th percentile ≤ BMI < 85th percentile) (3) overweight (BMI ≥ 85th percentile). Using BMI calculated from measured height and weight, 14.0% of boys and 6.8% of girls were underweight, and 16.3% of boys and 14.2% of girls were overweight. However, among this sample of students, 38.4% of boys and 13.6% of girls perceived themselves as underweight and 29.4% of boys and 44.9% of girls perceived themselves as overweight.
    We found that overweight students reported their body weights lower and their heights higher compared to nonoverweight students, resulting in an underestimation of BMI. Based on desired BMI, 79.9% of the girls desired to be underweight and 73.0% of the boys desired to be normal weight. Overweight or normal weight stud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weights than underweight students. Girls had more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concern compared to boys. Overweight girls spent longer times in watching TV compared to non-overweight girls (p < 0.001) and had more overeating behaviors (p < 0.05). Overweigh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ate snacks less frequently than non-overweight students, which may be due to their tendency to report less eating. In conclusion,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and weight status differences existed in weight perception, weight satisfaction, and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concern. Because perception of overweight is likely to lead to unhealthy eating behaviors and weight control, efforts for adolescents to improve accuracy of weight perceptions and to understand the benefits of being healthier are needed.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1) : 13~23,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