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시기 민속학의 자주성과 현단계 민속학의 식민성 극복 (Autonomy of the Folkloristics in the Colonial Period and Coloniality Overcoming of the Folkloristics at the Current Stage)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02
56P 미리보기
식민시기 민속학의 자주성과 현단계 민속학의 식민성 극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속연구 / 34호 / 147 ~ 202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지식인들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식민지 지식인 노릇을 하였다. 한일합방 이전부터 일본문화를 신문화로 우상화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는 중국의 유교문화를 우월한 문화로 숭배하는 사대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식민정책을 위한 민속조사와 식민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한 민속 탄압이 자행되었다. 일인들은 조선민속을 일본민속과 다르게 가치 평가를 하고 의미 해석을 함으로써 미신타파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식민지배에 봉사하는 어용학자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조선학자들은 조선총독부의 권력을 이용하여 민속조사를 하면서 조선문화의 독자성을 입증하려고 애썼다. 그러므로 이면적 진실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하면, 마치 조선총독부 관리와 협력관계에 있었던 식민지배의 공모자로 오해되기도 한다.
    해방 후 지식인들은 일본과 서구의 문화를 신문명으로 우상화하는 한편 조선문화의 전통을 재래문화로 간주하여 유의미하게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민속문화를 광범하게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조사연구활동을 실천하지 못했다. 오히려 식민시기에 일본을 통해서 익힌 서구지식으로 아는 체하고 해방된 한국사회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수단으로 삼았다.
    최근 유학파 지식인들은 서구주의에 몰입하거나 또는 일본 학문을 따라하는 한편, 자문화의 전통과 자국 학문을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민속학자 가운데에는 일본 유학파들이 일본학계의 독서지식으로 한국학계의 성과와 업적을 비판하는 교사적 태도를 보이는 한계가 있는가 하면, 외국학을 하는 학자 일부는 외국이론을 무리하게 적용하여 한국학자들의 민속연구를 조롱거리로 삼기도 한다.
    서구학문의 아류 행세를 할수록 학문적 기득권이 확보되고 외국학문에 박학다식을 과시할수록 학문적 존재감이 확보된다고 여기는 풍조 때문에, 한국 문화학은 서구학문의 패러디이거나 리모델링에 머물기 일쑤이다. 학문이든 예술이든 독창성이 생명이다. 그러므로 자문화 해석에 맞는 이론을 개척하고 수립하여 세계학계에 한국문화이론으로 제출할 수 있는 연구를 해야 식민주의 학문에서 해방되는 것은 물론, 한국 학문의 독창성을 제대로 확립할 수 있다.
    독창적인 눈으로 민속을 연구하더라도 민속과 민중을 수단화하면 식민주의 학문에 빠져들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경향이 민중에게 배운 민속으로 민중의 민속을 지도하는 민속학자들의 민속지식 역전 현상 조성이다. 따라서 민속학자 중심의 민속학주의와 민속 중심의 민속주의를 극복하고 민중의 삶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중주의 민속학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민속학자는 자기가 수행하는 민속이 민중의 삶과 함께 가고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면서 성찰적 연구를 해야 한다.

    영어초록

    Intellectuals had acted as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y befor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not only had idolized the Japanese culture as the new culture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ut also had toadyism that the Confucian culture of China was worshiped as a superior one. They enjoyed the privilege of their status reciting Chinese classics. Therefore, Seonbi in Joseon dynasty regarded the folk religion as private matter and the intellectuals influenced by missionaries considered the folk religion as idolatry, making it a target for liquidation.
    Joseon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carried out three policies regarding the folklore. These policies included the investigation into folklore, destruction of superstition, and Shinto shrine worship. Investigation into folklore was conducted in order to be used as a colonial policy of Joseon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destruction of superstition was a means to dominate people of Joseon by obliterating the Korean folk culture. Shinto shrine worship was to perpetuate the colonial rule with the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by forcing the Japanese emperor worship and the faith in Shinto.
    Japanese scholars belonging to Joseon government-general of Korea served for the government-patronized scholars who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destruction of superstition and the service for the colonial rule by make an evaluation on Joseon folklore differently from that on Japanese folklore. However, Joseon scholars at that time sought not to reveal the uniqueness of Joseon culture in the investigation into the folklore by taking advantage of the power of Joseon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refore, with the hidden side of truth being overlooked, they would be often misunderstood as being in conspiracy with the colonial rules as they were in a certai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officer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le the intellectuals after liberation idolized Japanese and Western cultures as the new civilization, they did not pay a meaningful attention to the Joseon tradition, assuming that it was just conventional 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activities making a forward-looking interpretation and an ex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folk culture contaminated with Japanese cul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not conducted. Rather, the intellectuals used them as a means of enjoying the vested interest in the Korean society liberated from Japanese rule and they were so snobbish with Western knowledge obtained through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The intellectuals studying abroad in recent years tend to look down on their own traditions and the studies of their own countries, immersing themselves in Western-oriented theories and blindly imitating the studies of Japan.Especially, among folklorists, the scholars studying in Japan with the knowledge obtained from reading the books of the folklore studies in Japan show a haughty and extravagant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and performance of the folklore studies in Korea and some scholars studying abroad have made a mockery of the studies on folklore of Korean scholars by forcedly applying the foreign theories.
    There is a tendency in Korea that the academic vested right is secured in proportion to the play of an imitator of Western studies and so is an academic presence in proportion to the ostentation of considerable learning about Western studies. Therefore, the Korean culturology is apt to be a parody or remodeling of Western studies. Originality is crucial to studies and art. Therefore, the liberation from the studies of colonialism and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studies shall be obtained by the presentation of the papers regarding the researches on the Korean culture theories at the world-class conferences with our own culture being used as a research material not in the translation terms but in our own academic terms and our theories being developed and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ight interpretation of our ow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