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의 高僧과 聖師 이해 ― 一然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 (Understanding of Eminent Monks and Enlightened Monks in th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 focusing on Ilyeon’s historical recognition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8.06
47P 미리보기
『三國遺事』의 高僧과 聖師 이해 ― 一然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3호 / 4 ~ 50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삼국유사』의 고승 중 성사에 대한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 1289)의 이해를 탐구한 글이다. 일연은 고승으로서 성사의 삶을 보여준 이들을 발견하고 그들을 문화 영웅으로서 기리기 위해헌신하였다. 그는 이상적인 삶의 모델을 보여준 성사들이 당대의문화 영웅이었으며 그들은 사회적 리더로서 남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일연은 그들의 행장을 발굴하고 그들의 전기를 기술함으로써 『삼국유사』의 분량을 확장시켰으며, 『삼국사기』가 담아내지 못한 주체적 인간의 삶, 능동적 인간의 삶을 후세에 남겨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일연이 기술한 『삼국유사』에는 고승으로서 성사의 삶을 살았던 많은 이들이 실려 있다. 그 중에서도 지통(智通), 관기(觀機), 도성(道 成), 반사(搬師), 첩사( 師), 보덕(普德), 원효(元曉), 신림(神琳), 표훈(表訓), 연회(緣會), 정수(正秀) 등은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시한 그시대의 문화 영웅들이었으며 동시에 새로운 여론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리더였다. 일연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삼국유사』 속의 붓다와 보살들의 현신으로서 고승과 성사의 삶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그는 문화 영웅이자 사회적 리더로서 고승과 성사의 은사 일사로서의 삶, 풍류 도인으로서의 삶, 국사 왕사로서의 삶을 조명해 냄으로써 『삼국사기』가 담아내지 못한 인간 이해의 깊이와 세계 인식의 넓이를 담아낼 수 있었다.
    엄밀하지는 않지만 일연에게는 고승과 성사 및 대사/대덕/장로, 법사/화상, 선사/율사, 사문/사/승의 구분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삼국유사』에는 이러한 구분이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으며여기에는 문화 영웅이자 사회적 리더로서 승려상을 수립하고자 하는 일연의 역사관이 투영되어 되어 있다. 그는 신이사관(神異史觀)에입각하여 『삼국사기』에 ‘빠진 일들을 기록하겠다’는 소극적인 의미만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역사가 ‘남긴 일들을 기록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담아 『삼국유사』를 찬술하였다. 그리하여 일연은 학덕이 높은 고승으로서 성사의 정의와 의미를 담아내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불교와 불교인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연은 김부식(金富軾)이 유교사관에 입각해 삼국 당시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한 고승들을 『삼국사기』의 전기에서 완전히 배제한 점, 역사의 전환점을 가져온 불교 관련의 주요 내용을 대부분 빠뜨리고있는 점, 고구려, 백제, 신라 중심의 역사만을 기록했을 뿐 정작 우리 민족의 시원인 고조선과 부여 및 가야, 삼한, 옥저, 동예, 대발해등의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점, 불교문화의 주역이었던 불교문화 영웅들을 인물 전기에 전혀 편입시키지 않은 점 등을 비판하면서 ‘대안사서’로서 『삼국유사』를 찬술하였다. 그리고 그는 그 안에다 집단 지성이자 문화 영웅인 성사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적극적으로 기록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monk Ingak Ilyeon’s (麟角一然, 1206–1289) understanding of enlightened monks among eminent monks in his book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Ilyeon devoted his life to discovering enlightened monks among the eminent monks throughout history and honoring them as cultural heroes. He realized that those enlightened masters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and were cultural heroes because they were models of an ideal human being during that era. In an effort to pass down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enthusiasm those heroes showed, he collected records of them and included their biographies 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because Busik Kim’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had missed them.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there are many enlightened masters who were eminent in their era. Among them, Jitong, Kwangi, Dosung, Bansa, Chupsa, Boduk, Wonhyo, Sillim, Pyohoon, Yeonhoi, and Jungsu were cultural heroes of their eras who showed a new way of life and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who affected public opinion. Ilyeon noticed this and directed his attention to these heroes’ lives, which he considered a manifestation of Buddha and Bodhisattvas. As a result, he put the life stories of the hermit Ilsa, of the elegance master, of national teacher and royal teacher of enlightened masters in his history record since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did not include them.
    Although Ilyeon did not perform a thorough examination, he seems to have understoo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enlightened great master/monk/an elder, master/eminent monk, dharma teacher/monk, meditation master/precept master, and sramana/bhikkhu/monk. 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these terms were often us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this represents Ilyeon’s historic point of view in which he establishes enlightened masters as cultural heroes and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society. He wrot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not only to include the historical event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overlooked, but also to actively record the important values passed down throughout history based on his mystic and magical historical point of view. In his view, the enlightened masters throughout history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and at the same time, models of an ideal Buddhist.Ilyeon criticized Busik Kim’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on many points: Kim did not write anything about enlightened monk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country, he missed all the important Buddhist events that brought critical changes to the history of the nation, he wrote only about three Korean kingdoms — Koguryo, Baekje, Silla — without writing anything about Kojosun, Buyeo, Gaya, Samhan, Okjeo, Dongye, or Great Balhae that were the origins of our race, and he did not write any biographies of great Buddhist figures who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Buddhist countries.
    For these reasons, Ilyeon wrot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as an alternative history in which he could actively include the value of the lives of enlightened monks who were cultural heroes and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