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품 사용의 위험관리를 고려한 분사식 주사기 사용오류 개선 방안 (A Strudy on Improvement Methods for use Errors through Needle-free Injector Risk Management)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3.06
9P 미리보기
제품 사용의 위험관리를 고려한 분사식 주사기 사용오류 개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에프디시규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KFDC규제과학회지 / 18권 / 1호 / 81 ~ 8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우, 김성민, 권지연

    초록

    바늘 없는 주사기는 바늘 공포증과 재사용을 통한 질병 확산 가능성, 의도하지 않은 바늘 찔림 혹은 그로 인
    한 감염 가능성 등을 예방하고자 개발 되었다. 바늘 없이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은 바늘 사용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
    을 줄이는 매우 분명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기존 주사기와 다른 사용 방법으로 인해 사용자 부주의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렇듯,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개념의 의료기기가 등장함으로써 제품 사용자의 안
    전과 사용 편의성 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의료기기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인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
    와 환자의 안전을 위한 사용적합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력과 스프링으로 약액을 미세하게 분사하여
    피부를 통과하여 주입되는 분사식 주사기를 대상으로 위험관리 기반의 사용적합성 평가를 통한 사용오류 개선 방안
    을 제안하였다. 우선, 분사식 주사기의 사용오류 식별과 위해요인 및 위해상황 식별을 수행한 후 위험을 평가하고 이
    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형성평가를 수행한다. 브레인스토밍 기
    법을 적용하여 분사식 주사기 위해요인 사용 시나리오를 식별하고 총괄평가를 위한 사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의
    도된 사용자는 전문 의료인으로 실제 사용 환경인 시술실에서 사용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사용적합성 평가 결
    과에 대한 검토 의견과 알려지거나 예측 가능한 위해요인 및 위해상황 식별 내용에 대하여 위험평가를 수행한 결과
    에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를 적용하여 개발자들의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분사식 주사기의 17가
    지의 사용 오류에서 의도된 사용자 15명과 개발자 5명의 의견을 반영하여 위험관리 기반의 사용적합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개선사항을 반영한 분사식 주사기의 개발은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용적합성 향상에 도
    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Needle-free injector were developed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fear of needles, possibility of
    proliferation of disease through reuse, unintended pricking of the needle, and possibility of infection. Although
    needle-free technology reduces the patients’ concerns on the use of a needle, it is not possible to fully guarantee
    that safety issues such as negligence by the user will not occur. The safety and applicability of the use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due to the advancement of medical devices. As such, the appropriate use by the patient
    is required due to the increase in medical device accidents arising from the negligent use.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s of improving the error in the use through the evaluation of risk-management based
    appropriateness with a Needle-free injector. The needle-free injector is a medical device that injects liquid by
    passing it through the skin by means of micro-spraying, using the magnetic force and spring. The risk is evaluated
    after having performed the identification of factors and harmful situations in order to identify the error in the use
    of the needle-free injector by applying an advisory group review technique. Based on outcome of the evaluation,
    a formative evaluation is executed by assessing the software and hardware user interface requirements. By
    applying the brainstorming technique, a scenario for the use related to harmful factors is identified. which will
    then be used to deduce a scenario for the use for the summative evaluation. The intended user is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and the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of the use was executed in the operating room, which
    is the actual environment for the use. Lastly, opinions of the developers were asked by applying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to the review opinions on the outcome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use evaluation
    and the outcome of the risk evaluation conducted for the details of the identification predictable for harmful
    factors and situations. As a result, the means of the improvement of risk-management based appropriateness of
    the use was deduc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15 intended users and 5 developers for the 17 errors by the
    of a needle-free injector. It is anticipated that the development of needle-free injector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the safety of and appropriateness of the use by the us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FDC규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