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신중식(新中式) 실내 스타일의 상공간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Commercial Space with New Chinese Interior Styl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06
12P 미리보기
중국 신중식(新中式) 실내 스타일의 상공간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3호 / 25 ~ 36페이지
    · 저자명 : 왕세학,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은 지금 다문화가 병행하여 발전하는 정보화 시대이며 인테리어 디자인 스타일 또한 다양한 트렌드를 나타내고 있다. 신중식 실내 스타일도 그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적 느낌이 나면서도 현대적 디자인의 세련된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여, 자연스럽게 융화시켜 현대인들의 미에 대한 기준을 찾는 공간 스타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신중식 실내 스타일의 긍정적인 가치와 맥락을 이해하고, 신중식 실내 스타일의 주요 디자인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상공간을 중심으로한 디자인 적용방법을 도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국 신중식 스타일은 문헌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였는데, 4가지 적용 방법의(문양, 색, 재료, 가구) 개념을 정리 한 후 그의 따라 표현되는 7가지 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신중식 스타일의 적용 방법과 공간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사례분석을 통해서 신중식 스타일의 어떤 디자인 적용 방법을 사용하고 또한 그 디자인 적용 방법에 따라 어떠한 공간의 특성으로 나타나는지 도표로 산출하여 결과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5가지 사례분석을 문양, 색, 재료, 가구의 4가지 적용 방법 특성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각 사례마다 강조하는 적용 방법을 통해 다양한 공간 특성이 색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전통 가구 적용방법에서는 활용성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부족함을 나타낸다. 신중식 실내 공간을 디자인 할 때 공간의 기능에 따라 방법을 다르게 적용하고 재료와 가구에 방법을 더 치중적으로 적용하면 상공간 안에 신중식 스타일을 더욱 깊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문양, 색, 재료, 가구, 네 가지 적용 방법을 다섯 개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적용 방법의 유형에 대해 분류하여 적용 비율을 도출하면 문양 적용 방법 중에서 기하문양, 색 적용 방법 중에서 흰색, 재료 적용 방법 중에서 목재와 가구 적용 방법 중에서 병풍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낸다. 이런 높은 비율의 적용 방법을 위주로 사용한다면 현대 실내 공간에 더욱 신중식 스타일의 공간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신중식 실내 공간을 계획할 때 특히 각각 디자인 적용 방법의 특성을 강조하여 공간을 디자인 한다면 새로운 중국 전통 스타일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상공간을 만들 수 있고, 또한 이런 다양한 적용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신중식 스타일 적용 방법의 색다른 시도와 상공간 특성의 상호 관계는 새로운 유형에 의해 독특한 신중식 실내 공간을 구성하며, 중국 전통 문화를 창의적이고 실험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재현되어 중요한 시너지 요소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hina is currently witnessing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different trends in interior design remain in style, including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This style is characterized by the natural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style with a sophisticated modern design, proposing updated traditional aesthetic standards to modern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value of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when applied to commercial interior spaces, in order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sites. (Method) Based on examples in which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was applied to commercial spaces, four application methods (pattern, color, material, furniture) and resulting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ased on notable cases in China, the creation process and seven spatial characteristics(symbolism, openness, diversity, contrast, materiality, harmony, utility)of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wer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interior spaces based on this style of design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functional, ornamental, and expressive. – By discussing problems affecting each of these types of commercial spaces, this study investigates ways to improve the value of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within the context of commercial design. (Result) Based on the spaces examined, this study presents a diagram of findings related to the use of specific design application method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application method. In these results, different types of interior spaces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ethod emplo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us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pplying traditional furniture designs, it is practically absent in current design applications. Methods used to apply New Chinese Interior Style elements within a space vary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pace, and presenting multiple examples of applying decorative materials to traditional furniture can enrich the use of New Chinese Interior Style in commercial spaces. The rate of application for the four methods (ornament, color, material, furniture) is deduced by classifying the type of each application method through a five case analysis: the rate of geometric ornament in the ornament application method, white color used in the color application method, wooden furniture used in the material application method, and folding screen in the furniture application method appear most often. (Conclusion) When designing spaces using the New Chinese Interior Style, emphasi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symbolism, openness, diversity, contrast, materiality, harmony, utility)of different design application methods can help create a commercial space with added aspects of traditional Chinese atmosphere, and it is important to propose and develop various application methods for including such designs. The correlation between new applic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paces can help create unique interior designs using the New Chinese Style and bring out synergy by creatively and experimentally updating traditional Chinese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