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해탄은 알고 있다>(김기영, 1961)의 휴머니즘과 포스트식민성 (The Humanism and Postcoloniality in The Sea Knows (Kim Ki-young, 1961))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04
26P 미리보기
&lt;현해탄은 알고 있다&gt;(김기영, 1961)의 휴머니즘과 포스트식민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47호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배상준

    초록

    본 연구는 일본 재인식을 유도하는 <현해탄은 알고 있다>의 텍스트를 분석한다. 그동안 <현해탄은 알고 있다>는 관객성의 소구로 작용하는 일본풍의 제시 혹은 국제연애의 멜로드라마 서사, 한운사의 라디오극 차원에서만 주목되었다. 특히, 식민시기 각종 고난을 이겨낸 아로운이라는 인물의 승리에 초점이 맞춰져 인간존재의 휴머니즘을 표방하는 영화로 인식된다. 그러나 본 영화는 독립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광복 영웅이 없으며, 반전을 이야기할 만한 스펙터클 요소도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현해탄은 알고 있다>는 당대 일본과 한국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이를 통해 하나의 사회적 형식을 제시한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거친 한국은 일본의 존재를 재인식하게 된다. 일본은 패망 이후에도 꾸준히 경제성장을 이룩한 반면 한국의 상황은 반대였다. 즉, 1960년대 일본은 경제적으로 선망의 대상이었으나 한편 식민시기의 기억으로 인해 문화적으로는 배척해야만 하는 존재였다. 이는 한국 내 세대 간 갈등으로도 표출되며, 일본을 경험한 세대의 균열로도 표방된다.
    <현해탄은 알고 있다>는 이러한 균열을 휴머니즘과 포스트식민성으로 시각화하고 있으며, 이를 공개 대본과 은닉 대본 형식으로 표출한다. 영화는 공개 대본으로 식민시대라는 시대적 설정과 태평양 전쟁, 그리고 조선인 학대를 보여준다. 특히 일본인을 선/악으로 나누어 새로운 일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조선인 아로운의 주체적 상황을 통해 휴머니즘을 표출한다. 특히 자꾸만 시체처럼 연출되는 모습은 폭력에 대항하는 인물들을 보여준다.
    반면 공개 대본의 이면에 있는 은닉 대본은 한용운-김기영-아로운으로 이어지는 일본 경험을 부정하지 않고 직시하여 번역해야만 그 의미를 알 수 있다. 이는 일본풍경 인서트 쇼트로 대변된다. 항구, 기차, 전차, 성 그리고 나고야 시내, 분수대, 절로 구분되는 인서트 쇼트는 각각 식민주의와 전쟁, 변주된 포스트식민성으로 치환된다. 식민주의를 나타내는 일본 풍경 후에는 아로운의 수난 서사가 이어진다. 특히 중반부의 반복되어 나타나는 하나의 인서트 쇼트는 주인공 아로운의 주체적 행위와 수난을 함께 표출한다. 즉, 김기영은 공개 대본과 은닉 대본을 통해 균열을 직시하는 것으로 일본 재인식을 유도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text of The Sea Knows, which induces a reconsideration of Japan. Until now, The Sea Knows has been recognized only in the dimensions of a presentation of Japanese-style aesthetics or an international melodrama narrative of cross-cultural romance, as well as a radio drama in the context of Han, Woon-sa. Particularly, it has been perceived as a film that advocates humanism by focusing on the triumph of the character A, Ro-un, who overcomes various hardshi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this film lacks a Korean independence hero struggling for independence and does not present any spectacle elements suitable for a anti-war. Instead, The Sea Knows visually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Japan and Korea, thereby presenting a social form.
    As South Korea went through a confused period socially and economically due to the Korean War, it began to reassess Japan"s presence. Despit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 consistently achieved economic growth, whereas Korea"s situation was the opposite. In other words, in the 1960s, Japan was admired economically, but culturally, it was seen as a presence to be rejected due to memori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was also manifested in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ithin Korea and portrayed as a divide among generations who had experienced Japan.
    The Sea Knows visualizes these cleavage through humanism and postcoloniality, presenting them in both public and hidden transcript forms. The film, in its public transcript, depicts the colonial era setting, the Pacific War, and the oppression of Koreans. Particularly, by dividing Japanese characters into good and evil and showcasing the new face of Japan, while also portraying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character A, Ro-un, it exhibits a form of humanism. The recurring imagery of bodies staged like corpses highlights characters resisting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 hidden transcript beneath the public one doesn"t deny the Japanese experience continued through Han, Woon-sa, Kim, Ki-young, and A, Ro-un. To fully understand its meaning, it needs to be confronted and translated. This is represented by the Japanese landscape inserts. The inserts shorts divided into port, train, tank, and castle represent colonialism and war respectively, while the inserts divided into Nagoya downtown, fountain, and temple represent modified postcoloniality. Following the portrayal of colonialism in the Japanese landscapes, A, Ro-un"s narrative of suffering unfolds. Especially, the repeated appearance of one landscape insert in the middle section represents A, Ro-un"s independence and suffering together. In essence, Kim, Ki-young, through both overt and covert scripts, confronts the ruptures, inducing a reconsideration of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