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에 나타난 기념의 문화정치학 (The Cultural Politics of Commemoration in the North Korean Defector Day Ceremon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5.04
28P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에 나타난  기념의 문화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79권 / 221 ~ 248페이지
    · 저자명 : 태지호

    초록

    한국 전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하는가는 한국 사회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가장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 전쟁이 아직 종식되지 않았음을 방증하는 사례이다. 이들에 대한 인식과 그 처우는 한국 사회에서 줄곧 중요한이슈인데, 최근에 이르러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날이 법정 기념일로 제정됨으로써 이들과 관련한 국가 정책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날이라는 기념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을 다루는데,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기념사와 기념식 중계이다.
    우선 북한이탈주민 날 기념사는 북한 및 분단 상황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지배 헤게모니적 가치를 강화한다. 즉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와 자기 계발 및 사회적 성취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자유와 통일이라는 개념을 세속화시키고 북한이탈주민들을 타자화한다. 그 다음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 중계 또한 기념사와 기념식이 강조하는 자유와 통일이라는 가치를 다양한 영상 기법을 통해드러내고 있으며, 무엇보다 이 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그 의미 형성에서 매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될 수 있는 기념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로, 기념식의 미학적이거나 재현 구성적 관점에서, 기념식의 수행성은 매체에 의존적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기념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상화에 치중함과 동시에 그들을 대한민국의 사회 질서를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상징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호명한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기념식이 근대적 통치성의 규범과 기술을 재확인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특정한 계층에 대한 기념을 통해 국가의 방향성을 공식화하고 동시에 국내외에 당면한 문제들을 봉합할 수 있는 도덕적인 당위성을확보하기 위한 시도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How the Korean War is perceived and remembered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Korean society. Above all, North Korean defectors serve as a clear example that the Korean War has yet to be fully resolved. In relation to this, the recent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Defector Day as an official commemorative day highlights the ongoing significance of this 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North Korean Defector Da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irst North Korean Defector Day commemoration ceremony, specifically analyzing the commemorative speech and the broadcast of the ceremony.
    First of all, the commemorative speech on North Korean Defector Day reconstructs memories of North Korea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reinforcing the hegemonic values of present-day Korea.
    In other words, by emphasizing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rights and issue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l achievement, the speech secularizes the concepts of freedom and unification, while other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Next, The broadcast of the commemorative ceremony also highlights the values of freedom and unification, as emphasized in the speech and the ceremony, through various visual techniques. Most notab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is process, North Korean defector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se meanings.
    Through this analysis, three main aspects of the meaning of commemoration can be identified.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s or representational composition of the ceremony, the performativity of the commemoration is dependent on the media. Second, the ceremony not only focuses on the objectifi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ut also calls upon them to play a symbolic role in consolidating the social order of Korea. Third, the ceremony reaffirms the norms and techniques of modern governmentality. This is because commemorating specific groups,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s, serves to formalize the direction of the state and simultaneously secure a moral justification to reconcile pres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