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대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 조사 (An Examination of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Obesit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9
12P 미리보기
여대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3호 / 67 ~ 78페이지
    · 저자명 : 권진

    초록

    현대 여성들은 늘씬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선호하는반면, 스스로의 인체는 비만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본인 신체의 실측값으로 계산된 비만도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신체만족도를 파악하여 20대 여성이 추구하는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는 의복 개발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수척형, 표준형, 비만형의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과 신체 만족도에 관한 분석이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의 신체인식 및 신체 만족도를 분석하기위하여 폐쇄형 설문지를 이용한 질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로러지수 산출을 위해서는 신장과 체중의 인체계측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연구표본은 PASW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여 여대생은 실제 비만도보다 스스로 인식하는 비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측 비만도와 인식 비만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있었다.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 영향 요인은 체중, 둘레항목, 길이항목, 넓이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른항목들 보다 체중, 가슴둘레 그리고 엉덩이둘레가 자기인식 비만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신체 만족도에서는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 모두 비만형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척형의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에 따른 신체 만족도는 체중, 상체와하체 형태 및 실루엣, 그리고 허리 및 팔과 다리의 둘레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척형이나 표준형 여성의 의복보다는 신체 만족도가 낮은 비만형 여성의 의복 개선이 더욱더 요구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비만도에 의한 신체 인식이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기 때문에 인체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의복 개발이 요구됨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소비자들의 이상적 신체와 실제 신체 차이를 고려한 의복 설계와 제작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Modern women are in favor of slim and esthetic body line but many of them a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fat. In reality, however, most of them do not know their actually measured obesity.
    From such a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tends to work on the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among the college women and to provide theoretical materials in developing the clothing that meets the esthetic desire for females in their twenties.
    Scope and contents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eing thin, normal and obese. Research materials were referred to from the database in internet site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network screening, and released publications along with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to the research method, question sheet was used in the form of a closed-end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hysical body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body based on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To calculate the Rohrer's Index,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utilized about height and weight.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program PASW 18.0.
    Results turned out that the self-perceived obesity was larger than the actual obesity among the college women, indicating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real measurement and the perception. Specific body part influential to perception appeared as weight, circumference or girth, length, and width. Of those sectional categories, such parts gave much impact on self-perceived obesity as weight, chest girth and hip girth. In satisfaction of body, the obese type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whereas the thin type group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lso, satisfaction of body by the obesity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weight, the shape and silhouette of upper and lower part of body, and the girth of waist, arm and leg.
    As a resul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ore effort should be placed on developing the female clothing for obese type than that for thin type or normal type. As there appears a different perception or satisfaction in obesity, some finley classified development should also be necess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about human body. Based on these outcomes, clothing design and manufacture could be predicted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between ideal body and real body for the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