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식생활 관련 연구동향 분석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Adolescent Dietary Lif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6
15P 미리보기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식생활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생활과학회지 / 30권 / 3호 / 513 ~ 527페이지
    · 저자명 : 윤미령, 김유경

    초록

    ‘청소년의 식생활’과 관련한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학술지에 1991-2018년 동안 발표된 논문 681편문의 영문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라 '제 1기(1991∼1999년), 제 2기(2000∼2009년), 제 3기(2010∼2018년)'로 구분하고 다빈도 키워드 추출, 핵심키워드의 중심성 및 연결망 분석, 덴드로그램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 기간(1991∼2018년)에 걸쳐 공통적으로 ‘영양, 선호도, 식행동 및 태도’에 관한 키워드가 상위 20개 내에 꾸준히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관련 내용이 주요한 연구 내용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기>에는 ‘여학생의 비만 및 칼슘 섭취’, ‘식행동’에 관한 연구, <제 2기>에는 ‘식태도, 체중, 학교급식, 영양교육’과 관련한 주제들이 주요 연구 내용이었으며, <제 3기>에는 ‘지식, 교육, 학교 급식’ 등에 대한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 왔고, ‘만족도, 자각도, 식사’ 등의 키워드가 새로 이 출현하였다. 둘째, 핵심 키워드의 영향력 및 중심성을 토대로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시기별 키워드를 군집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기>의 가장 주요한 연구 주제는 ‘청소년의 식품 섭취 및 신체 비만’으로 요약할 수 있고, <제2기>는 ‘청소년의 식생활’과 관련한 연구가 양적으로 증폭되는 시기인 만큼 연구주제가 다양해졌고, 그로 인해 연결망이 복잡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기에는 <제 1기>에도 다루어진 ‘학생들’의 ‘식품 섭취’, ‘체형’, ‘영양 교육’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었고, 관련 내용이 ‘섭식 장애’, ‘신체 이미지에 대한 자각도’, ‘웹 기반 영양 및 식품 교육’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그 외 ‘학교 급식’ 등에 관한 내용이 주요 연구 주제로 등장하였다. <제 3기>의 연결망 분석에서 알 수 있는 특징은 ‘섭취’보다 ‘청소년, 학생’ 등의 행위 주체자로 관심이 옮겨갔으며, 연구주제가 ‘학교급식’에서 ‘무상 급식’ 및 ‘급식 위생’으로 확장되었고 ‘식이 장애’로 인한 ‘정서 장애’를 살펴보는 것으로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군집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식이장애’와 ‘자존감, 자기효능감’ 등이 ‘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언급되었고, ‘급식 관련’ 연구가 ‘인지도 및 선호도, 만족도’와 함께 조사되거나 ‘한식’ 혹은 ‘식품표시제도’와 함께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체중 조절’에 관한 연구가 <전체 기간>에 걸쳐 큰 연구 주제를 형성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영양 섭취’가 큰 연구 주제를 형성하였으며 ‘신체 이미지’와 ‘영양지식’이 연관되어 연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설정한 저자 키워드는 대부분 저자가 임의로 작성한 비통제 키워드이므로 주관적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슷한 주제의 논문에서 키워드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이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으므로 각 학술지에서 정제된 주제어 목록과 색인을 구축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기존의 전통적 내용분석방법이 아닌 관계의 의미를 더 깊게 들여다볼 수 있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것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 많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후속연구에서는 본문 전체나 본문을 요약한 초록을 분석대상으로 한다면 관련 연구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1990∼2018) related to 'the dietary life of adolescents'. Twenty-five journ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which 681 articles were collected using the author’s keywords. Eventually 1123 key words were extracted, refined, and us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on 'the dietary life of adolescents', the period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arts: the first period (1990∼1999); the second period (2000∼2009); and the third period (2010∼2018). Then, we measured network centrality and keyword frequency, and we also visualized the semantic network using the 'arules' and the 'sna' package of the R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Keywords, such as 'nutrition, preference, dietary habits, and habits' were listed among the top 20 keywords, which showed the major research topics throughout the period (1991∼2018). According to the result of key words centrality, the main topics of each period were as follows: Period 1 included 'food intake and obesity of adolescents'; period 2 included 'nutrition and food intake', 'school meal service', 'nutrition education',' body image of adolescent',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and period 3 included 'intake', 'school meal', 'dietary control' and 'sugar consumption', 'green dietary life', and 'dietary control and emo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research contents on the dietary life of adolescents were expanded, specified, and progressed with time and social changes.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 small reference to predict long-term trends on the dietary life of adolesc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생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