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복지시설 사용자 중심의 영양·식생활관리 프로그램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02
10P 미리보기
노인복지시설 사용자 중심의 영양·식생활관리 프로그램 요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1권 / 1호 / 65 ~ 74페이지
    · 저자명 : 이민준, 김정현, 박옥진, 이영미

    초록

    노인복지시설에서의 노인 스스로의 영양·식생활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적 성격의 구체적 컨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설별 노인들의 영양·건강 상태와 식습관 및 영양·식생활 관리에 대한 경험과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서울·경기·충남·대전권 지역의일부 보건소, 경로당 및 복지관을 현장 방문하여 해당 기관이용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보건소가 17%, 경로당이 30.7%, 복지관이 52.3%였으며 연령은 65~74세가 43.9%, 75세 이상이 56.1%로 구성되었다. 체위조사에서는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65세 이상 체위 기준과 비교해볼 때 성별에 관계없이 대략 신장 +2 cm, 체중 +4~5 kg, BMI +1 정도의차이로 나타났다. 여자노인은 체중과 BMI에서 복지관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p<0.001).
    2. 조사대상자의 83.2%가 보유 질환으로 처방·복용중인 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8.0%의 노인이 고혈압 질환으로 처방약을 복용 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당뇨와 골격계 질환으로 처방약을 복용중인 어르신이 각각 26.4%와21.2%로 높게 나타났고 기관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일별 식사 횟수는 평균 2.9회, 주별 외식 횟수의 경우주 1회 내외로 외식의 경우 복지관이 1.3회로 가장 높았다(p<0.05). 식사방법은 ‘직접 조리’ 하는 비율이 83.8%로가장 높았으며 복지관이 95.2%로 가장 높았다(p<0.005).
    식품 선택 시 고려사항은 ‘맛’을 가장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당이 56.1%로 가장 높았다(p<0.001). 우리나라어르신 식생활지침 18개 항목의 실천수준에서는 운동과 관련된 부분이 보통 이하며 기관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근육운동은 복지관이 가장 높고(p<0.01) 정상체중관리에 대해서는 경로당이 가장 낮았다(p<0.05).
    4. 영양·식생활교육 경험은 19.8%만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식생활관리에 대한 서비스는 ‘영양식품 제공’ 에 대한 요구도가 21.6%로 가장 높았다. 영양·식생활교육및 상담에 대한 요구도 조사에서 상담규모는 보건소와 복지관은 단체규모를, 경로당은 소집단 규모를 선호하였으며 단체규모에 대해서는 복지관이 46.9%로 가장 높았다(p< 0.001). 상담 장소는 조사대상자가 주로 이용하는 해당기관에서의 실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 및 상담 실시자는 영양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운영형태는 상담, 교육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영양·식생활교육에서상담 받고 싶은 내용은 질환별 식사요법과 건강을 위한 평소식사요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기관별 유의적인 차이는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시설별로 영양·식생활 관리에 대한 질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질병과 관련된 식사요법 컨텐츠를 포함한 상담, 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영양사 확보 정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health conditions,eating habits and experience and demand for nutrition·dietary management of senior citizens.
    And these data are formed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nutrition·dietary managementeducation program and content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Methods: We visited 3 public health centers, 3 senior citizens centers, and 4 welfare centersin Seoul, Gyeonggi-do,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area and carried out interview by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senior citizens older than 65 years who use those facilities.
    Results: The study included 17%, 30.7% and 52.3% of senior citizens from public healthcenters, seniorcitizen centers and and welfare centers, respectively. The age range of 43.9%of the population was 65-74 years and and 56.1% were older than 75 years. We observedthat 83.2% of subjects took some medicines due to diseases that they have and 58.0% tookprescription medicines for hypertension. The thing that they considered the most whenselecting food was ‘the taste’(p<0.05). Regarding the level of practice to keep the dietarylife, they answered more than ‘average’ for most of items but answered less than ‘average’for lot of salt intake, drinking, exercise. For the experience of nutrition·dietary lifeeducation, only 19.8% answered ‘Yes’ and the service for nutrition·dietary life management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demand for ‘provide nutritious food’. For the size ofconsulting group for nutrition/dietary life education,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welfarecenter preferred a larger group size but the senior citizens center preferred a smaller group.
    With regard to who will carry out the consulting, the demand for dietitian was the highestand the operation type showed the high demand in the order of consulting, education. Thecontents that they want to have consultation in nutrition·dietary life education were diettherapy for diseases and the ordinary diet therapy for health.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management of nutrition·dietry life necessitatesqualitative measur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se, it is in needof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included therapy for disease. Above all,the policy to secure dietitia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o perform these should beach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