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주지역 대학생의 건강관련요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조사 (Survey on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4
13P 미리보기
원주지역 대학생의 건강관련요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0권 / 2호 / 96 ~ 108페이지
    · 저자명 : 이순희, 이승림

    초록

    본 연구는 원주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건강관련사항, 영양지식, 그리고 식습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평균연령 19.7세로, 평균체질량지수(BMI) 는 남학생 22.9 kg/m2 , 여학생은 20.9 kg/m2 로 남학생이유의적(p < 0.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체중(18.5 ≤ BMI)은 남학생 13명(5.9%), 여학생 38명(17.2%)이고, 과체중 이상(23.0 ≤ BMI)은 남학생 88명(39.8%), 여학생 37명(16.7%)로 두 군 간에 유의적(p < 0.001)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관련 요인에서 ‘운동을 한다’(p < 0.001)는 남학생157명(71.0%), 여학생 105명(47.5%)이고, 운동 횟수(p < 0.001)는 ‘주 3~4회 이상’이 남학생 55명(35.0%), 여학생 25명(23.8%)이며, 운동시간(p < 0.01)은 남학생은 ‘30~90분 미만’이 107명(68.1%), 여학생은 ‘60분미만’이 74명(70.5%), 건강에 대한 관심도(p < 0.05)는 ‘많다’와 ‘매우 많다’가 남학생 76명(34.3%), 여학생 47명(21.2%), 건강상태(p < 0.001)는 ‘좋다’와 ‘매우 좋다’가남학생 120명(54.3%), 여학생 79명(35.8%)로 각각에서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운동종류는 남학생은걷기 68명(43.3%), 헬스 43명(27.4%), 태권도 15명(9.6%), 농구 12명(7.6%) 순이며, 여학생은 걷기 68명(64.7%), 요가 11명(10.5%), 헬스 11명(10.5%), 태권도 9명(8.6%) 순으로 유의적으로(p < 0.001) 차이가 나타났다. TV시청과 컴퓨터게임 시간은 ‘1시간미만’에서 남학생 101명(45.7%), 여학생 65명(29.4%), ‘2시간 이상’에서 남학생 104(47.0%), 여학생 125명(56.1%)로 여학생이 유의적으로(p < 0.01) 높게 나타났다.
    흡연에서는 ‘흡연’이 남학생 115명(52.0%), 여학생 51 명(23.1%)로 남학생의 흡연율이 유의적으로(p < 0.001) 높게 나타났고, 음료 종류는 남학생은 탄산음료 106명(55.5%), 여학생은 커피 84명(42.2%)로 선호하는 음료에서는 유의적인(p < 0.001) 차이가 나타났다.
    영양지식은 남학생 11.8 ± 3.1, 여학생 12.9 ± 3.7로여학생이 유의적으로(p < 0.05) 높게 나타났고, 20개 항목중 ‘철분결핍은 빈혈을 초래한다’(p < 0.01)와 ‘콜라 같은탄산음료는 칼로리가 없다’(p < 0.05)에서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대한 합계점수는 남학생 56.4 ± 19.4, 여학생53.7 ± 19.8로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 항목별로는 ‘하루에 세끼 모두 식사를 한다’ (p < 0.01), ‘아침 식사를 제때에 한다’,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한다’(p < 0.001), ‘운동을 매일 한다’(p < 0.001), ‘정크 푸드를 자주먹지 않는다’(p < 0.05), ‘단 음식을 자주먹지 않는다’(p < 0.05), 그리고 ‘외식을 자주하지 않는다’ (p < 0.05)에서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남학생은 체질량지수, 운동 실천율, 운동 횟수, 운동시간, 건강하다와 건강에 대한 관심도, 흡연율, 탄산음료의 섭취, 그리고 식습관 총점이 여학생 보다 더높게 나타났고, 여학생은 TV시청과 게임시간, 영양지식에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남·여학생 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체중 관리, 건강관련 인식과실천문제, 식생활에 따른 영양지식 부족, 그리고 부적절한 식습관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올바른 식습관 확립과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관련 교양강좌 개설이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지식만을 제공하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식태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방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Methods: A total of 442 (male: 221, female: 221)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nd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were investigated and data were analyzedusing SPSS WIN (ver 21.0).
    Results: The body mass index (22.9 kg/m2 vs 20.9 kg/m2, p < 0.001) was significantlyhigher in the males. The ratio of weight (p < 0.00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males and females. Health-related factor scores ‘Exercise (p < 0.001)’, ‘Number of exercise(p < 0.001)’, ‘Times of exercise (p < 0.01)’, ‘Concerns about health (p < 0.05)’, ‘Healthcondition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Type of exercise (p < 0.001)’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Score on ‘Watching TV &computer games (p < 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s. Smoking (p < 0.001)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Type of beverages consumed (p < 0.001) was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Nutrition knowledge score (11.8 vs 12.9,p < 0.05)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s. Scores on ‘Iron deficiency is leading toanemia (p < 0.01)’ and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ke, have no calorie (p< 0.05)’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s. Food habits score (56.4 vs 53.7, p < 0.01) was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Scores on ‘I have three meals a day (p < 0.01)’, ‘I havebreakfast regularly (p < 0.001)’, ‘I have meals on time (p < 0.001)’, ‘I do exercise everyday (p < 0.001)’, ‘I don't eat junk food often (p < 0.05)’, ‘I don't eat sweet food often(p < 0.05)’, and ‘I don't eat out often (p < 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Conclusions: Nutrition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their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tailored to meet various needsof these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