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72년 郡縣地圖』 중 全羅道地圖의 회화식 표현 분석 (An Analysis of Painting Styles Used in the Maps of Jeolla Province from Joseon County-Prefectual Maps of 1872)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1872년 郡縣地圖』 중 全羅道地圖의 회화식 표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6권 / 286호 / 87 ~ 111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본 논문에서는 『1872년 군현지도』 중 전라도 지도의 산형 표현 방식을 중심으로 회화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제작 방식과 실질적으로 제작에 참여된 인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조선왕조에서 시행한 전국 군현지도 편찬사업의 마지막 성과물로 평가되는 『1872년 군현지도』 는 이전의 관찬 군현지도집과 달리 통일성은 결여되었지만 19세기 말 변화된 정치, 경제적 상황과군사적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지방사회의 모습을 여과없이 보여주는 사료로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기존의 회화식 군현지도 제작 기법이 총체적으로 사용되어 각 군현의 지도 제작 양상을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를 지닌다.
    『1872년 군현지도』의 제작은 당시 정권을 잡은 흥선대원군이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각 지방의 정보를 수집한 것과 관련이 있다. 전 국토의 실정과 군사력에 대한 현황 파악은 이미 1871년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1872년에는 관방(關防) 지역을 포함한 전국 군현을 대상으로 대형의 지도를 기획하였다. 『1872년 군현지도』는 전체적으로 1871년 읍지도를 바탕으로 확대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1872년 3월에서 6월에 걸쳐 전국의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완성되었다.
    그러나 『1872년 군현지도』 중 전라도 지도는 1871년 읍지도를 임모(臨摹) 하지 않고 새롭게 제작하였다. 도곽(圖廓) 안에 지도를 그리고 지도 여백에 건치연혁(建置沿革)을 기록하는 방식으로체제를 통일하였으며 청록산수화풍의 화려한 색채와 경물의 구체적인 묘사 방식은 다른 지방의 지도와 구별된다. 전라도 지도는 기본적으로 산도 형식의 구도를 바탕으로 지형의 지세를 설명하는풍수지리관이 강하게 표출되었으며 실재하는 비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산수화적 표현은 실경산수화와 같은 맥락으로 제작되었다.
    제주도 지도를 제외한 총 80점의 전라도 지도는 산형 표현에서 동일한 화풍이 반복되거나 실경적 요소가 강조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동일한 화풍으로 제작된 지도는 같은 방식으로 묘사되었더라도 안료나 채색 기법은 다르게 구사되어 밑그림과 채색 작업이 분업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경적 요소가 강조된 표현은 화가의 회화적 수준에 따라 묘사 방식에서조금씩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라도 지도에 보이는 화풍의 유형을 기준으로 지도 제작에 참여한 화가의 인원을 추정하였으며 전라도 지도의 필사작업에는 전라감영의 지휘 아래 화사군관을 비롯하여 지역 화가 총30여명이 동원되었다. 전라도 지도가 다른 지역의 지도와 달리 감영에서 다시 필사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양식을 갖춘 채색지도로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당시 전라도 지역의 지도편찬을주관했던 관찰사의 기획력과 원로화원의 숙련된 기량이 함께 발휘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80 maps of Jeolla Province (excluding the maps of Jeju Island) from the Joseon County-Prefectual Maps of 1872 and focuses on the maps’ depiction of mountains. Additio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making maps as well as the personnels who participated in the actual drawing.
    Deemed as the final outcome of the Joseon dynasty's initiative to produce state maps, Joseon County-Prefectual Maps of 1872 are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s as they reveal local communities without any filters, though they lack consistency compared with previous maps published by local administrations. The maps in 1872 display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onditions of the late 19th century. In addition, they are excellent sources to examine mapping procedures used for each region of the country since they collectively utilized all existing pictorial map-drawing techniques.
    The initiative of the Joseon County-Prefectual Maps of 1872 is related to the efforts of the regent Heungseon Daewongun to gather information on each region in an attempt to gain political ground and establish centralized authority. The 1872 maps were drawn from March to June 1872 for each gun (county) and hyeon (prefacture) nationwide, expanding the eupji (town gazetters) complied in 1871 as the bases.
    Among the 1872 maps, the maps of Jeolla Province, however, were newly drawn from scratch, not by copying the maps in eupji of 1871. All the maps of Jeolla Province adopted the same format, where a map was drawn in a bordered canvas and the important years of the regional history was written down in the margins. Moreover, they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local maps in the way they applied various colors often found in blue-and-green landscape paintings, and the way they portrayed the scenery in detail. In general, the Jeolla Province maps clearly display a theory of geomancy, showing geographical features with a style of sando (graveyard maps), and depict picturesque scenes in a similar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When it comes to portraying mountains, the Jeolla Province maps can be divided in two groups: one that displays the patternized style and the other that focuses on topography.
    Nevertheless, the former suggests that they were sketched and colored by different artists as the pigments and color techniques on each map vary; the latter displays different in pictorial styles that varied according to an individual artist’s level of skill.
    Based on the painting styles of the maps of Jeolla Province, it can be assumed that thirty people, government officials specialized in painting as well as local painters, participated in drawing under the command of the Jeolla Provincial office. The Jeolla Province maps were produced with a consistent form and various colors thanks to the skilled veteran artists and the Jeolla Provincial governor in charge of publishing the ma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후